고용회복 걸림돌 작용…소수 기업 '고용쏠림'도 심해져

사진=한국은행
[데일리한국 이혜현 기자] 코로나19 사태 이후 장기 실업자가 늘고, 자동화 전환과 소수 기업의 고용 쏠림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1일 ‘코로나19의 상흔: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보고서에서 “노동시장이 올해 2월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코로나 사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코로나의 상흔이 공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 이후 나타난 첫 번째 부정적 요인은 실업의 장기화 추세다. 올해 상반기 장기실업자(구직기간 4개월 이상)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월평균 4만9000명 늘었다.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올해 6월 현재 단기실업자(구직기간 3개월 이하)가 15.5% 늘어나는 동안 장기실업자는 26.4%나 급증했다.

한은은 이런 실업 장기화의 가장 큰 부작용으로 일자리 찾기를 포기하는 구직 단념자 증가를 꼽았다. 실제로 2019년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장기실업자의 구직단념 전환율(실업자 중 3개월 이내 구직단념자가 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21.1%에 이르렀다. 단기실업자의 구직단념 전환율(11.9%)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반대로 같은 기간 취업 전환율(실업자 중 3개월 후 취업상태인 사람 비율)은 장기실업자(32.3%)가 단기실업자(37.9%)보다 낮았다. 특히 여성과 취업 경험이 없는 장기실업자의 취업 전환율이 두드러지게 저조했다.

두 번째 부정적 요인은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 문제다. 2017년 4월과 비교해 2020년 10월 기준으로 자동화 고위험(자동화 가능성이 큰) 산업의 취업자 수는 2.5% 줄었다. 반면 자동화 전환 가능성이 낮은 자동화 저위험 산업의 취업자 수는 오히려 2.8% 늘었다.

특히 코로나19로부터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대면서비스업을 따로 보면, 같은 기간 자동화 저위험군 세부 산업의 취업자가 2.4% 줄어드는 동안 자동화 고위험군 세부 산업에서는 취업자가 10.8%나 급감했다.

소수 기업에 고용이 쏠리는 고용집중도 세 번째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300인 이상 사업체의 고용은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고용은 부진한 상태다.

이에 따라 고용의 집중 정도를 나타내는 고용 허핀달-허쉬만 지수(고용 HHI)를 보면 지난해 상승폭이 2019년의 1.9배 수준까지 치솟았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고용 HHI 지수가 10% 오르면 고용 증가율은 평균 0.08%포인트 떨어진다.

고용이 소수 기업에 집중되면 규모의 경제 효과 등이 나타나면서 다른 신규 기업의 진입이 어려워지고, 그만큼 신규 고용창출도 줄어들게 된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