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보고서...5월 첫째주 철근 거래가격 톤당 93만원대…13년 만에 최고치

"자재 수급 불안 장기화 전망…정부, 단계적 대응해야"

주요 건설 자재가격 상승률 추이. 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데일리한국 김현진 기자] 최근 철근과 시멘트 등 건설업계 원자재 수급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설 자재 가격 상승 현황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5월 첫주 기준 철근 거래가격은 톤당 93만원대(도매·현금지급기준)로 건설사의 심리적 저항선인 90만원 선을 넘었다. 철근 가격이 톤당 90만원을 넘어선 것은 2008년 5월 ‘철근대란’ 이후 13년 만이다.

이에 지난 3월과 5월 중소 건설업체 중심으로 작업을 중단하는 현장이 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가 지난 3월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재 수급 불안으로 인한 공사 차질 현황’ 결과에 따르면, 62개 현장이 철근과 형강, 콘크리트 파일 수급 불안으로 작업중단을 결정했다. 5월에는 59개 현장에서 평균 20일 정도 자재 수급 문제로 공사가 지연됐다.

문제는 이 같은 자재 수급 불안이 장기화할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 백신 보급으로 전 세계 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며 원자재 비용 상승 압력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 탄소규제 강화로 중국에서 전기를 이용한 철강 생산체제로 전환하고 있어 장기간 철스크랩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단계적으로 대응하며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단계적 대응책으로는 △유통사의 철강 건설 자재 매점매석 단속 및 행정조치 적극 강화 △시멘트·레미콘 등 비금속 광물제품 원자재 재고를 확보해 추가 자재난 확대 방지 △지역 중소 건설사 협의체 구성 및 소통 창구 등을 제시했다.

박 연구위원은 “건설생산에 투입되는 주요 금속 자재의 가격이 전년보다 20% 이상 상승할 경우 건설사의 부분 손실은 불가피하고 40% 이상 상승할 경우에는 건설사의 실질적 손실이 불가피하며 피해는 중소 건설사에 집중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정부는 적극적으로 철강 생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건설 생산체계를 점검, 단계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최소 전년보다 10% 이상의 철강 생산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