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증권사 수탁서비스 수수료 최대 30배 뛰어

외부 자금 받으려면 최소 한 곳과는 판매계약 필수

사진=각사
[데일리한국 견다희 기자] 사모 펀드에서 사기나 환매중단 사태가 잇따라 벌어진 여파로 판로 확보가 어려워진 운용사들이 그동안 판매규모가 크지 않았던 중소형 증권사를 찾는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대형 증권사의 경우 깐깐한 심사와 함께 높은 수탁수수료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1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내 금융지주사 산하 은행들과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일부 대형 증권사가 제공하는 펀드 수탁서비스의 최저 수수료가 1%까지 올랐다.

라임·옵티머스 사태가 터지기 전 수탁 수수료가 0.02~0.04% 수준이었음을 고려할 때 최대 30배까지 오른 셈이다.

이는 라임사태 이후 수탁업무를 잘 받지 않기 때문이다. 판매하는 입장에서도 부담을 느낀 영향도 작용했다.

펀드 수탁 업무는 운용사와 신탁 계약을 맺은 수탁자가 수탁자산을 보관하며 사무를 대신해 주고 일정 수수료를 받는 구조다. 만약 수탁사를 구하지 못하면 펀드를 출시할 수 없다. 현재 은행과 대형 증권사 6곳 등 총 20곳만 수탁 업무를 맡을 수 있다.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 이후 수탁사들에게 기존의 자산관리 업무 외에도 금융당국이 관리감독 의무를 부여하다 보니 관련 인력 확충 등에서 비용이 발생하고 이것이 수수료 상승으로 어이지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대형 증권사도 일정 판매규모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다만 우량 운용사만 선별해 판매망에 올리는 등 운용자산이나 자본금 등 정량적 요건이 높아지고 까다롭게 운용사를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정상적으로 사모펀드를 신규로 설정하고 증권사 등에 원활하게 판매할 수 있는 운용사는 10~20곳 안팎이다. 사모펀드를 설정한 국내 운용사가 327곳인 것과 비교하면 펀드 설정과 판매 의사가 있어도 어려움을 겪는 곳이 적지 않은 셈이다.

이에 자산운용사들은 중소형 증권사의 판매망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실제 유안타증권은 지난해 3월 2조5234억원의 사모펀드를 판매했지만 올해 3월에는 3조5159억원으로 39.3% 늘었다. 교보증권도 같은 기간 19.6% 늘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종종 펀드 자금 출처가 운용사 지인이 대부분인 경우도 있다”면서 “일단 판매 계약을 맺어야 자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중소형 중권사를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소 한 곳과는 판매 계약을 맺어야만 운용사의 고유자금을 넣을 수 있다”면서 “외부 자금을 받으려는 목적이 아니어도 판매계약을 하지 않으면 펀드 출시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