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사면을 받은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해 12월30일 중구 대한문 앞에서 쌍용차 복직 유예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2009년 쌍용자동차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과정에서 해고된 근로자 46명이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휴직 구제신청서를 제출했다. 휴직이 아닌 현장 배치를 해달라는 요구지만, 사측은 최근 실적 부진 등 경영난이 이어지고 있어 이를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김득중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 등 마지막 쌍용차 해고 근로자들은 이날 오전 경기 수원시 경기지방노동위원회를 찾아 부당휴직 구제 신청서를 냈다.

이들은 2018년 9·21 합의(해고자 60% 2018년 말까지 복직, 나머지는 지난해 말까지 부서 배치)에 따라 해고 이후 10년7개월 만인 지난 7일 평택공장으로 출근했다. 합의에 따라 이들은 지난해 말 업무에 복귀할 예정이었으나, 사측은경영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통상임금의 70%를 받는 유급 휴직을 통보했다.

해고된 근로자 46명은 정상 출근하며 사측에 부서 배치를 지속 요구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사측은 경영난이 이어지고 있어, 이들을 당장 근무에 투입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실제 쌍용차는 지난해 16만5000대 판매를 목표로 했으나, 전년 대비 5.6% 줄어든 13만5000대를 파는 데 그쳤다.

이에 쌍용차 노사는 지난해 9월 복지 중단 및 축소 등 경영쇄신을 위한 선제 방안에 합의한 뒤 12월에는 체질 개선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강도 경영 쇄신책을 마련했다. 자구안에는 △상여금 200% 반납 △PI 성과급 및 생산격려금 반납 △연차 지급률 150%에서 100%로 변경 등이 담겼다.

쌍용차 관계자는 “회사의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복직자들의 현장 배치가 미뤄져 안타깝다”면서 하루빨리 경영을 정상화해 복직자들을 현장에 배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차는 2009년 4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전체 임직원의 36%인 2600여명을 정리해고했다. 이에 노조원들은 그해 5월21일 옥쇄 파업에 돌입, 77일동안 파업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한상균 당시 쌍용차지부장 등 64명이 구속됐으며, 1700여명이 명예퇴직 등으로 퇴사했다.

옥쇄파업을 버틴 조합원 970여명 가운데 454명은 무급휴직이나 명예퇴직을 선택했고, 165명은 이 가운데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아 해고됐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