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고려918ㆍ2018 그 찬란한 도전’특별전…12월 4일~2019년 3월 3일, 국립중앙박물관

(왼쪽)은제금도금 표주박모양 병과 은제금도금 환(環)<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른쪽)청자 주자와 받침, 고려12세기<영국 피츠윌리엄박물관 소장>
“천자의 따님이여, 보름달 같으셨네. 天子之女兮 如月在望” <고려 숙종의 딸, 복녕궁주(福寧宮主) 묘지명 중에서>

박물관 앞 얼어붙은 ‘거울 못’ 호수에 오후의 햇살이 냉기와 따뜻한 기운을 품고 반짝였다. 월요일 오후임에도 청소년들을 비롯해 중장년의 발걸음으로 전시장 입구는 무척 북적였다. 고려건국 1100주년기념 ‘대고려918o2018 그 찬란한 도전’특별전이 12월 4일 오픈해 오는 2019년 3월 3일까지 서울 이촌역 연결,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국내외 총45개 기관이 소장한 고려문화재 450여점을 한 자리에 모았다. 이탈리아 동양예술박물관, 영국 영국박물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오사카 동양도자미술관 등 국외 4개국 11개 기관과 국내 법보종찰 해인사, 삼성미술관 리움, 호림박물관, 간송미술문화재단 등이다.

고려미술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전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른데 △상업이 중시되고 물류가 국력이었던 수도 개경 △불교문화 △차가 있는 공간-지식인의 문학과 예술 △세계최초금속활자발명 등 고려의 찬란한 기술과 디자인 등을 중심내용으로 구성했다.

아미타여래도, 고려14세기<이탈리아 동양예술박물관 소장>
도전의 역사 독자적 미감

고려 왕실은 최대의 미술후원자가 되어 가장 높은 수준의 문화를 이끌었다. 자연으로부터 얻은 다양한 재료와 이를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은 10~14세기 동북아시아가 이룬 공통적인 문화 성취이지만 기술을 어떻게, 어디에 쓸 것인가의 결정이 위대한 예술을 창조했다.

고려가 지향했던 사회는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사회였다. 그러한 분위기는 문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는데 다채롭고 화려한 미술이 고려의 수도 개경을 중심으로 펼쳐진 것이다. 특히 새로운 재질의 물품제작에 도전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자기(磁器)다. 10세기 고려에서 자기를 제작하기 전까지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자기를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 했다. 다양한 기법과 무늬로 장식된 자기는 고려의 독자적인 미감을 잘 보여준다.

왕실은 고급공예기술을 보유한 다른 나라의 장인도 적극 받아들이는 포용력을 발휘했다. 특히 회화ㆍ금속공예품ㆍ나전칠기ㆍ자기 등 미술 각 분야에 선호 되었던 소재와 무늬, 기법을 융합하여 새로운 차원의 물질문화를 창조하였다. 고려청자가 당시의 신기술에 대한 고려인의 열망을 보여준다면, 정교하고 섬세한 고려불화의 아름다움과 나전칠기의 치밀함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루어낸 예술의 정점이다. 이것은 일대 혁신이었고 이로써 새로운 문화의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왕실은 고려만의 빼어난 문화가 꽃필 수 있도록 기술을 발전시키고 아름다움에 대한 안목을 키웠다. 발상의 전환을 통해 고려미술문화의 수준을 한 차원 더 높이 끌어 올렸던 것이다.

정명희(鄭明熙) 학예연구관
한편 이번 전시를 위해 현장에서 발로 뛴 정명희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관은 “이번 특별전은 고려의 문화적 성취를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 세계에서 모인 고려미술품을 통해 고려가 우리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은 무엇인지, 고려 오백 년을 지속할 수 있게 한 힘의 단서를 찾을 수 있기를 기원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