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번의 사전 협의 없이 결정…구민이 바보인가"
"유해물질 배출·소음·교통체증 등 피해 가중될 것"

상암동반대투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최은하(가운데) 마포구의원이 1일 구의회 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의 신규 자원회수시설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준영 기자
상암동반대투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최은하(가운데) 마포구의원이 1일 구의회 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의 신규 자원회수시설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준영 기자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서울시가 신규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 입지 후보지로 기존 시설이 있는 마포구 상암동 부지를 선정한 데 대해 주민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사전 협의가 없었던 데다 유해물질 배출, 소음, 출입 차량 증가에 따른 교통혼란 등으로 심각한 생활피해가 우려된다는 주장이다. 백지화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을 밝힌 만큼, 향후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상암동반대투쟁위원회(투쟁위)는 1일 오후 마포구의회 청사 정문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중대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단 한 번의 사전 협의도 없었다”면서 “서울시의 졸속행정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투쟁위는 소각장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과 시·구의원들로 결성됐다. 김기덕 서울시의원과 성은경 주민대표가 공동위원장을, 신종갑·최은하 마포구의원이 부위원장을 맡았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주민과 김영미 마포구의회 의장을 비롯해 5명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마포구 을 구의원이 참석했다. 

투쟁위는 △사전 협의 없이 구민 의견을 무시한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계획 즉각 철회 △광역자원회수시설 건설 부지 선정 관련 졸속·밀실 결정에 대한 사과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계획 전면 재검토 등을 촉구했다. 

최 부위원장은 “마포구에는 이미 매일 약 750톤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자원회수시설이 가동되고 있다”면서 “여기에 처리 용량 1000톤 규모의 광역자원회수시설이 들어서면 2035년까지 9년 동안 마포구에서만 2개의 자원회수시설이 가동돼 유해물질 배출, 소음, 출입차량 증가에 따른 교통체증으로 구민들을 심각한 생활피해를 입게 된다”고 주장했다. 

최 부위원장은 특히 쓰레기 소각장을 지역의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서울시의 주장을 두고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구민들이 바보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수십 년간 이어진 마포구민들의 노력과 협조로 난지도 쓰레기매립장을 많은 사람이 찾는 명소로 만들었는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런 구민들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며 “37만 마포구민을 무시한 이번 발표는 즉각 철회,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상암동반대투쟁위원회가 1일 구의회 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의 신규 자원회수시설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준영 기자
상암동반대투쟁위원회가 1일 구의회 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의 신규 자원회수시설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박준영 기자

서울시는 전날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을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공원 일대에 세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영향 권역(300m 이내) 내 주거 세대수가 없다는 점과 현재 폐기물 처리시설로 지정돼 있어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등이 높게 평가됐다.

시는 2026년까지 기존 자원회수시설 옆 지하에 새 시설을 건립한 뒤 기존 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해 주민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또한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에는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하기로 했다.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을 관광 아이템으로 역으로 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부지 인근 주민을 위해서는 약 1000억원을 들여 수영장과 놀이 공간 등 편익시설을 조성하고, 연간 약 1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주민복리증진과 지역발전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발표 후 시는 마포구와 구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한편 서울시에서는 하루 3200톤의 종량제 생활폐기물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 내에 있는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양천·노원·강남·마포)의 하루 총 처리 용량은 약 2200톤으로 1000톤이 부족하다. 문제는 새로운 광역자원회수시설을 세운다고 해도 2035년 기존 자원회수시설을 철거하면 다시 750톤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이 부족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용역을 통해 연구·분석하는 등 여러 방안을 강구해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