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역으로 확산하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책임을 묻는 지식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을 겨냥한 직접적인 비판이 나오자 중국 지도부는 언론 통제를 강화하며 맞대응하고 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6일 쉬장룬 칭화대 법학 교수의 중국 지도부 비판 내용을 전했다. 쉬장룬 교수는 중국이 신종 코로나 초기 대응에 실패한 것은 중국의 시민사회와 언론이 극도로 억압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공개 토론 기회가 억제돼 사회에 경보를 알릴 수 있는 매커니즘이 무너졌다”라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8일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의 예방을 받고 악수하고 있다. 연합

쉬 교수는 2018년에도 시진핑 주석의 장기집권을 초래한 개헌을 비판했다가 출국금지와 정직 처분을 받은 바 있다. 그는 중국의 정치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며 시진핑 체제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

중국의 인권변호사로 알려진 쉬즈융은 시진핑 주석이 아예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무역전쟁, 홍콩 시위, 신종 코로나 확산 등 주요 위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시 주석은 물러나야 한다”며 “시 주석의 정칭데올로기는 혼란스럽고 그의 통치모델은 구식이며 사회안전망을 추구하는 정책으로 중국을 망쳤다”고 비난했다. 그는 과거 공공질서 교란죄로 투옥생활을 하고 출소한 후 다시 도피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민심이 악화하자 시 주석은 5일 중앙전면의법치국위원회 제3차 회의를 열고 법적 수단을 총동원해 코로나 확산을 막을 것을 당부했다. 중국 당국은 언론통제도 본격화 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중국 당국이 국영 언론매체에 코로나 해결을 위한 정부의 긍정적인 활동과 노력을 부각시키는 기사 보도를 지시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