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 가중치 1.5->2.0 상향 … 일반 폐목재 구분이 관건

우드칩과 우드팰릿.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송찬영 환경전문기자] 산림청은 국내 목재 펠릿생산업체와 한국남동발전이 최근 산림 바이오매스 연간 21만5000 톤으로 생산한 목재 펠릿을 3년간 공급해 친환경 전기를 생산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공급하는 목재 팰릿은 국내에서 벌채 뒤 산지에 남겨진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가 활용된다.

산림청은 산불위험 요소를 줄이고 산림재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수입 발전용 목재를 대체함으로서 외화절약과 에너지 안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현재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는 연간 400만㎥에 이른다. 충북 진천군에는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연간 30만톤 규모의 목재 펠릿을 생산하는 동양 최대 규모 공장이 올해부터 가동 중이다.

국내에 24곳의 목재 펠릿 공장이 있지만, 생산 규모는 17만톤으로 주로 가정용을 생산하고 있다.

목재 펠릿 수입량은 2012년 12만2000톤에서 2015년 147만톤, 지난해 170만5000톤, 올해 9월까지 220만3000톤으로 계속 늘고 있는 상황이다.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 계기는 기후변화 협상에서 목재 팰릿이 친환경에너지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석탄에 비해 온실가스를 약 1/20밖에 배출하지 않아, 석탄을 대체할 경우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크다는 것이 장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이유로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 가중치를 1.5에서 2.0으로 상향했다. 이에따라 현체재 아래서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는 톤당 약 8만9000원을 지원받는 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산림청은 풀이했다.

참고로 목재 단가는 현재 수입산이 15만원 선, 국산은 33만 원 내외다. 목재 관련법에 따르면, 공기업은 최소 35% 이상 국내 목재를 사용토록 의무화 돼 있다.

이에 어차피 공기업 발전사 입장에서는 국내산 목재를 써야하는 입장이고, 산림청 입장에서는 방치된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한편, 산불예방과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산림청은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년에 임도 812㎞를 설치하고 고성능 임업 기계 67대를 보급하는 등 산물 수집 기반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목재 펠릿의 용도를 구분하지 않았던 품질기준도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주거용·소규모 상업용 및 산업용 등 용도별로 구분하고 주기적으로 품질단속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박종호 산림청 차장은 “2022년까지 100만㎥의 미이용 산림 바이오매스를 발전용으로 활용하면 1500개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생산설비 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산림 바이오매스 수집작업에 지역주민이 참여하게 돼 주민 소득증진과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