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청아 기자]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와 대기오염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악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미국의 비영리 민간 환경보건단체 '보건영향연구소'(HEI)에 따르면, 인구가중치를 반영한 한국의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는 1990년 26㎍/㎥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당시 OECD 평균치(17㎍/㎥)보다 높은 수치이고, 회원국 중 7번째로 나쁜 수준이었다.

그런데 2015년까지 25년 동안 OECD 평균치는 15㎍/㎥로 낮아진 반면, 한국은 2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터키를 제외하면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나쁜 수준으로 악화됐다.

한국은 세계 각국을 미세먼지 농도별로 나눈 5개 그룹 가운데 중간인 3그룹에 속한다.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도, 최악인 중국(58㎍/㎥)이나 북한(34㎍/㎥), 라오스(33㎍/㎥)보다는 좋지만, 일본(13㎍/㎥)이나 싱가포르는 물론 베트남, 몽골, 필리핀 등보다도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오존 농도 역시 OECD 국가 평균치가 1990년 61㎍/㎥에서 2015년 60㎍/㎥으로 낮아진 반면 한국은 66㎍/㎥에서 6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OECD 국가 중 오존농도 최악 순위에 4위로 이름을 올렸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 일본이나 중국보다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HEI 자료는 미세먼지나 오존으로 인한 사망자의 OECD 회원국 간 비교는 어렵지만 지역별 비교 결과를 알 수 있어 한국의 전체적 수준은 짐작할 수 있다.

해당 자료에서 한국의 미세먼지 사망자 수는 1990년 연간 1만5100명에서 2000년과 그 이듬해에 1만3100명으로 감소했으나 다시 증가해 2015년엔 1만8200명에 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인구 연령구조를 반영한 10만 명당 미세먼지 사망자는 1990년 68명에서 2015년엔 27명으로 대폭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사망률도 1.9%에서 1.2%로 줄었다.

이는 세계 평균치(94명→66명,5%→4.1%)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이지만 일본(17명), 미국(18명), 캐나다(12명), 서유럽 등 이른바 선진국들에 비해선 높은 수치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