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건은 세력화…인물·지역 등 기반 갖춰야”

선거법 개정은 ‘양날의 검’…‘위성정당’이 변수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을 방문, 윤순철 사무총장과 김헌동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을 만나 부동산 문제 현안과 관련해 대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동용 기자]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정계에 복귀하면서 정치권에 미칠 파급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변화한 정치지형 등을 근거로 한 ‘비관론’과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당 돌풍’을 일으킨 저력이 남아있다는 ‘낙관론’이 공존한다.

여권에서는 안 전 의원의 파급력이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평가절하한다. 그렇게 됐으면 하는 희망사항이 물론 깔린 것이기도 하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2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안 전 의원의 정계 복귀와 관련, “큰 영향력은 없을 것”이라며 “지난 총선에서는 민주당의 호남 지역구 의원들이 (안 전 의원에게) 대거 가세했으나, 지금은 갈라졌고 호남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안 전 의원은 귀국 다음 날인 20일 광주 5·18 민주화묘지를 참배했다. 정치적 기반이 부족한 안 전 의원이 이번 총선에서도 호남을 지역 기반으로 삼으려는 의중이 담겨있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3일 데일리한국과의 통화에서 “국민의당이 약진할 수 있었던 이유는 호남지역의 반문재인 정서 때문이었다”며 “지금은 호남에 민주당 지지층이 많아 (안 전 의원은) 지역 기반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안 전 의원이 정계 진출 후 주창해 온 ‘새 정치’의 유통기한이 끝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4·13 총선에서 부각됐던 ‘새 정치’ 이미지가 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등을 거쳐 퇴색됐다는 주장이다.

4년 전과 비교해 더욱 양극화가 심화한 현재의 정치지형에서는 ‘중도층 공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안 전 의원 본인이 총선에 나서지 않는 상황에서는 본인 외의 인적 자원도 없어, 거대 양당과 싸움은 힘들 것 같다”며 “‘정권 심판론’과 ‘촛불혁명 완성론’이 이번 총선의 쟁점이 된다면 ‘중도’의 가치는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2017년 10월 29일 당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국민의당 전국청년위원회 발대식에서 당 청년위원회 깃발을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보수통합을 전제로, 지난 총선과 정계 구도가 비슷해 안 전 의원이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범진보 여권과 범보수 야권의 양강구도 속에서 중도층을 공략해 균열을 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안 전 의원의 총선 결과를) 낙관하기 힘든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바뀐 선거법과 현재의 정치지형을 고려하면 정치적 스탠스가 나쁘지만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선거법 개정은 안 전 의원에게 ‘양날의 검’이다.

일각에선 ‘안철수 신당’이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정당 득표율을 얻는다면 비례대표로 최대 10석을 차지할 수 있다는 계산도 나온다. 한국당의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이 간판을 걸고 후보를 낼 수 있다면, '안철수 신당'에는 악재가 될 수 있다.

안 전 의원이 정치권에 적지 않은 파급력을 미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전문가들은 인재영입·지역 기반 확보 등을 통한 ‘세력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현종 논설위원은 “결국 세력 정치를 해야 한다”며 “아젠다(agenda) 정치가 4년 전에는 통했지만, 이번엔 특정 지역이나 성과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본인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철 교수는 “지금까지 안 전 의원이 추구했던 정치 방향에 걸맞은 인재들이 따라오는 부분이 약했다”며 “중도진영을 확보하면서 인물을 영입하고 정치적 키워드를 생산하는 데 주력한다면 성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