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액기준 예대마진 2.19%p…2년3개월만 최대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혜현 기자]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 상승과 가계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들이 전반적으로 금리를 높인 탓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7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11월 은행권 주담대 평균 금리는 3%대 중반에 달했고,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5%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1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51%로 한 달 새 0.25%포인트 또 올랐다.

이는 2014년 7월(3.54%) 이후 7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4.62%에서 5.16%로 0.54%포인트나 뛰었다. 2014년 9월(5.29%) 이후 최고 기록이고, 오름폭(0.54%포인트)은 2012년 9월(0.66%포인트) 이래 9년 2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61%로 10월(3.46%)보다 0.15%포인트 올랐다. 연 3.61%의 가계대출 금리는 2018년 12월(3.61%) 이후 최고점이다.

예금은행의 11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17.7%로 10월(20.7%)보다 떨어졌다. 고정금리인 보금자리론 취급 감소, 변동금리와의 격차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고승범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과도한 부채가 금융안정을 해치는 일을 막아야 한다면서 새해에는 가계 부채의 안정적인 관리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고 위원장은 “금융 안정이 기반이 돼야 경제 성장도 이룰 수 있다”면서 “과도한 부채가 금융 안정을 해치는 일을 막는 것은 지금 이 시기에 위원장에게 가장 중요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부채 비율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금융 안정을 해치고 경제 성장에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들이 있으며 자신도 동의한다면서 1997년 외환 위기와 2003년 신용카드 사태 등을 예로 들었다.

고 위원장은 “이런 위기의 공통점은 과도한 부채 문제와 연결돼있기 때문에 항상 신경을 쓰고 있어야 위기 상황을 미리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대출 금리는 2020년 2월(3.19%) 이후 1년 9개월 만에 다시 3%대에 올라섰다.

11월 기업 대출 금리는 연 3.12%로 10월(2.94%)보다 0.18%포인트 올랐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0.23%포인트(2.67→2.90%), 중소기업 대출 금리도 0.16%포인트(3.14→3.30%) 올랐다.

기업 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10월(3.07%)보다 0.16%포인트 높은 3.23%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1.29%에서 1.57%로 0.28%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시장금리 상승 등에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1.57%의 저축성 수신 금리는 2019년 12월(1.60%) 이후 1년 11개월 내 최고 수준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마진은 1.66%포인트로 10월(1.78%)보다 0.12%포인트 줄었다.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는 총수신 금리(0.77%)가 0.04%포인트, 총대출 금리(2.96%)도 0.07%포인트 올랐다. 예대마진(2.19%포인트) 역시 0.03%포인트 확대됐다. 2019년 8월(2.21%포인트) 이후 2년 3개월만의 최대 폭이다.

은행 외 금융기관 가운데 상호저축은행의 예금금리(1년 만기 정기예탁금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36%로 한 달 새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상호금융(1.41%), 새마을금고(2.10%), 신용협동조합(2.03%)에서는 각 0.07%포인트, 0.15%포인트, 0.09%포인트씩 예금금리가 높아졌다.

대출금리의 경우 신용협동조합(3.98%·+0.04%포인트), 상호금융(3.58%·+0.11%포인트), 새마을금고(3.91%·+0.04%포인트)에서 오르고 상호저축은행(9.32%·-0.15%포인트)에서 떨어졌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