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규모 발행…금융당국, 모니터링 강화 “다른 유형 상품은 큰 문제 없어”

우리은행(사진 왼쪽)과 하나은행 본점 전경. 사진=각 사 제공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증권(DLS)이 지난해 사상 최대치인 3조원 이상 발행되면서 손실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22일 금융투자협회 조사 결과 지난해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DLS 발행금액은 12조6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원금 비보장형이 3조2000억원(25.5%)에 달했다.

이는 전년인 2017년에 세웠던 종전 사상 최대 발행 기록(2조5000억원)보다 29.0% 급증한 수치다.

원금이 보장돼 비교적 리스크가 적은 DLS는 9조4000억원(74.5%)이었다.

원금 비보장형은 원금 보장형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까닭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올릴 수도 있지만, 그만큼 손실 위험에 따른 리스크도 크다.

그런데 최근 수년간 금리 연계형 DLS은 원금 비보장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원금 비보장형 발행액은 2013년 약 1500억원이었던 것이 지난해는 3조2000억원으로, 5년새 22배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원금 보장형은 7조8000억원에서 9조4000억원으로 20.4% 증가해, 증가율이 더뎠다.

금리 연계형 DLS 원금 비보장형은 상품 대부분이 은행의 PB고객으로 분류되는 고액 투자자를 상대로 사모펀드 형태로 판매된다.

일반 소비자에게도 잘 알려진 주가연계증권(ELS)은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데 반해, DLS는 금리와 신용 및 원자재, 환율 등을 활용한 파생결합상품이다.

특히 우리은행이 4012억원, 하나은행이 3876억원을 판매한 금리 연계형 DLS는 해외금리 인하에 따라 천문학적인 손실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불완전 판매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판매한 상품들은 영국과 미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를 활용한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과 홍콩 시위,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이들 상품 외에도 다른 원금 비보장형 DLS 상품의 손실 가능성도 제기된다.

에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금리와 환율 및 유가 등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 상품과 같이 위험도가 높은 금융상품의 발행과 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금감원 측은 개인 투자자 판매 비중이 높은 주요 해외 금리 연계형 DLS의 손실 우려가 불거지면서 국내 금리형 및 다른 유형의 DLS 상품도 전반적으로 점검했지만 아직까진 큰 문제가 발견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