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예금취급기관 10.7% 상승…2008년 통계작성 이래 처음으로 10%대 넘겨

한 대형업체의 물류센터 내부 전경.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지난해 도·소매업 대출 증가율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창업이 늘어난데다 온·오프라인 대형 유통업체들이 유통망 증설에 매진하면서 대출을 늘렸고, 소형 업체들은 업황 부진으로 제2금융권에서 돈을 빌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예금취급기관의 도·소매업 대출 잔액은 144조5424억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08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도·소매업 대출 증가율은 2013년(3.6%), 2014년(5.0%), 2015년(5.7%), 2016년(6.0%), 2017년(6.6%)까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10%를 넘기며 두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예금 취급기관 가운데 상호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예금 취급기관 한정으로 살펴보면 도·소매업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31조6117억원으로 25.2% 증가해 역대 최고 증가율을 경신했다.

이는 내수 부진이 이어진데다 최저임금과 임대료 상승 등의 요인으로 업황이 악화되자 영세 도·소매업체들이 제2금융권에서 대거 대출을 받은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대적으로 신규 창업자의 진입장벽이 낮은 도·소매업에 창업 수요가 몰리면서 해당 업종에서 대출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 조사 결과 지난해 도·소매업 신설법인은 2만2972개로 전년 대비 22.5% 증가했다.

대형 유통업체들이 당일배송이나 새벽배송 등이 가능하도록 물류망을 증설하면서 은행권 대출 잔액이 크게 증가한 것도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쿠팡은 지난해 사상 최대인 4조4227억원의 매출을 거뒀지만 물류 인프라 확장 등 투자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1조97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티몬도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40% 증가했지만 매입 역량 강화 등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서 영업손실 규모는 더 확대됐다.

이에 대형마트 업체들도 일제히 온라인 유통 및 배송 채널 강화에 나서는 분위기다.

한편,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은행 대출이 예금은행 대출보다 더욱 급격히 늘어나면서 부채의 질도 악화됐다.

실제로 지난해 도·소매업 대출 가운데 비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1.9%로 전년(19.3%)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