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리스크 확대, 성장전망 하향 움직임 등 영향…미 연준 통화정책 관건

24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2019년 1월 통화정책방향 관련 금통위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국내외 불확실성 증대 및 경기 둔화 우려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국은행은 24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하기로 결정 내렸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당초 시장이 예상했던 시나리오였다.

지난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한은 전망대로 2.7%를 달성했지만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올해도 연초부터 수출이 감소하는 등 부정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대외적으로도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과 브렉시트, 중국 경제 성장세 둔화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선 모두 민감한 외부 요인이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낮추겠다고 신호를 보내면서 한은의 골치 거리였던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역전폭 확대 부담도 다소 덜어졌다.

미 연준은 경기침체 우려가 증대로 인해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이달 초 태세를 전환해 금리 인상 속도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시장에선 미 연준이 올해 1분기에는 일단 금리를 동결하고 신중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한은이 당장 통화정책 방향을 바꿔 금리인하 방향 쪽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낮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완전 끝났다고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한은이 먼저 금리인상 카드를 거둬들이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한미 간 금리차가 벌어지면 외국인 자본의 국내 유출 사태 등에 발생해 금융위기로 번질 위험성이 있다.

금리가 인하되면 정부 규제로 과열세가 겨우 꺼진 부동산 시장에 다시 불이 붙을 수도 있다. 한국 경제의 뇌관인 가계 빚 역시 더 늘어날 수 있어 금리 인하 선택을 하긴 쉽지 않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들 사이에서는 올해 한은 금리동결 의견이 우세하지만 일부에선 다른 견해도 나온다.

하반기 인상을 전망하는 기관이 있는가 하면 국내외 여건 변화 시 금리 인하 가능성도 점쳐진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