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고객 빅데이터 분석 결과

가구당 자녀 수는 맞벌이가 1.08명, 외벌이 1.26명

상품별 납입보혐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 사진=한화생명 제공
[데일리한국 최성수 기자] 한명만 돈을 버는 외벌이 가정이 맞벌이 가정보다 더 많은 보험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은 30~40대 고객 180만명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우선 소득으로 보면 맞벌이 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765만원, 외벌이 가구는 52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외벌이 가구는 소득의 4.82%(25만4978원)를, 맞벌이 가구는 월 소득의 3.65%(27만9225원)를 보험료로 지출했다.

맞벌이가정이 소득은 더 큰데도 외벌이 가정보다 보험료 지출 비중은 더 작은 것이다.

특히 소득 하위 그룹(맞벌이 연 7000만원 이하, 외벌이 연 4000만원 이하)은 외벌이 가정이 더 많은 보험료를 납입했다. 중위 그룹(맞벌이 8000만∼1억1000만원, 외벌이 5000만∼1억원)도 외벌이 가정이 낸 보험료가 더 많았다. 상위 그룹만 맞벌이의 보험료 납입액이 더 컸다.

이에 대해 한화생명은 “소득이 많은 맞벌이 가정은 부부가 모두 경제 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망과 중대한 질병을 보장하는 상품에 대한 필요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험계약대출과 신용대출을 활용해 본 경험은 소득 하위 그룹에서는 맞벌이보다 외벌이가 더 많았지만, 소득 상위 그룹은 맞벌이 가정이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높은 경우 맞벌이 가정이 소비에 조금 더 적극적이고 경제활동을 부부가 모두 하다 보니 대출을 더 쉽고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화생명은 설명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보험계약대출과 신용대출은 소득이 많아질수록 활용 경험이 줄어 들었다. 반면 부동산 대출은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가구당 자녀 수는 맞벌이가 1.08명, 외벌이 1.26명으로 외벌이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생명은 “직장과 육아를 함께해야 하는 맞벌이 가정의 육아에 대한 부담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