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창훈 기자] 한국 경제에서 상장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지 않아 제2의 ‘대우조선해양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매출이 많고 고용 직원이 많은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질 경우 한국 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한계기업 3278개 가운데 비교적 기업 규모가 큰 상장기업은 232개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계기업은 금융 당국이 기업 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인데,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말한다.

상장 한계기업의 2015년 매출액 합계는 71조3545억원으로, 당시 한국 국내총생산(GDP)에 4.6%(1565조원)에 달하는 규모로 집계됐다.

해당 상장 한계기업이 고용한 직원 수는 정규직 9만200명, 기간제 근로자 5285명 등 9만6018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대우조선해양으로, 2015년 기준 매출액은 13조3663억원이고 임직원 수는 1만3199명이다.

매출액 1조원이 넘는 상장 한계기업은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13개사였으며, 1000억∼1조원 사이는 53개사로 조사됐다.

임직원이 1000명이 넘는 곳은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15개사이고, 100∼1000명은 124개사로 집계됐다.

또한 상장 한계기업은 기업 개수로는 전체의 7% 수준에 불과하지만, 신용공여액(대출·지급보증 등 빚) 기준으로는 45%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질 경우, 제2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