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서도 0.5W~1.25W 전력 소모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자료사진
[데일리한국 동효정 기자]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자취를 하는 하 모씨는 대기전력이 아까워 사용하지 않을 땐 콘센트를 뽑고 생활하다가 아예 대기전력 차단 제품을 구입하기로 했다.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달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은 하씨는 깜짝 놀랐다.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에서도 자체 소모전력이 생겨나 사용하는 전력이 오히려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기전력 차단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하겠다는 했는데 별반 효과를 보지 못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관리공단이 발표한 의하면 약 3억대의 전자제품이 개당 평균 3.66W의 대기전력을 소비하며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다. 매년 한 달 전기사용량에 육박하는 309kWh, 3만 5,000원을 가정에서 낭비하고 있으며 국가 전체로 환산하면 5,000억원에 달한다. 한 푼이라도 아끼자는 마음에 대기전력 낭비를 줄이려는 가구가 늘고 있지만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또다른 대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적게는 0.5W, 많게는 1.25W까지 발생하는 대기전력 차단제품의 자체 소모전력이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관련 시장은 특허 분쟁이 지속되면서 사업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특허 분쟁은 2009년 시작됐지만 기술에 이어 디자인 분야까지 소송이 번지며 5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재판이 길어지자 유사제품까지 난입했고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시장은 혼탁해졌다. 성능도 제각각이다. 제품 출시 당시 인증받은 제품들도 실제 시장에서는 인증 기준과 다르게 판매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정부가 시민단체와 함께 조사해 밝혀진 전기장판처럼 인증규격이 아닌 제품이 유통되는 사례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시장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다 관련 업체들의 저가공세가 이어지며 인증되지 않은 유사상품이 난립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기전력 차단장치가 인기를 얻기 시작한 2010년과 2011년 개당 4만~5만원대에 달했던 제품가격은 최근 1만6,000원대까지 떨어졌다. 기업에서는 품질이나 전력차단 효과와는 상관없이 의무적으로 30%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싼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제품의 품질을 떠나 무조건 전체 콘센트의 30%만 대기전력 차단제품으로 쓰면 상관이 없으니까 가급적 저렴한 제품을 선호한다”면서 “때문에 기업들의 가격경쟁 또한 점차 가열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어느 품목이나 가격이 떨어지면 당연히 성능이나 안전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전반적인 가격하락에 따른 품질 저하를 우려했다. '친환경' '스마트 홈'을 내세우며 주택이나 브랜드 아파트에도 도입했던 대기전력차단 장치는 직접 시스템에 사용 전력을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 씨는 "무조건 전력을 차단해주는 줄 알았는데 이 장치에도 대기전력이 소요되는 줄 몰랐다"면서 "정부 차원의 홍보와 기준미달 제품 검사등을 통해 기본 정보를 알리고 시장을 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