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강영임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도입한 대중 관세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을 대폭 줄이는 효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지난 3월에 끝난 미국 회계 연도상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4720억 달러(한화 약 531조2000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 지난 2018년 7월 이전의 5390억 달러(약 606조6000억원)보다 670억 달러(약 75조4000억원) 줄어든 수치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이 불공정 통상 관행을 통해 미국을 경제적으로 침탈한다는 이유로 중국산 제품에 최고 25%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도 이에 반발해 맞불 관세를 물리면서 무역전쟁이 발생했다.

미국은 중국과 1단계 무역 합의를 통해 무역전쟁을 봉합한 이후에도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지적 재산권 보호 등을 중국에 압박하기 위한 레버리지로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대중 관세가 유지됨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의 품목에도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산 통신 장비와 컴퓨터 장비의 수입 규모는 2018년에 비해 각각 150억 달러(약 16조9000억원)가 줄었다.

중국산 휴대전화의 수입 규모도 100억 달러(약 11조2000억원) 줄었다.

크레이그 앨런 미·중 무역 전국위원회(USCBC) 회장은 “관세의 목표가 중국산 상품의 수입을 줄이는 것이었다면 성공했다”라면서도 “그러나 미국에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대미수출이 줄었지만, 당초 트럼프 행정부가 기대한 것처럼 해외 생산공장의 미국 복귀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미국 업체들은 중국산 수입을 줄인 대신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의 상품 수입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의 경우 2018년 미국에 12번째로 많은 상품을 수출하는 나라였지만, 순위가 6위로 뛰어올랐다.

한편 올해 초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도 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