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해 외출이 제한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목디스크를 호소하는 환자의 수가 크게 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목디스크 환자의 수는 2015년부터 해마다 증가해, 2019년에는 100만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는 교통사고나 운동 중 부상이 목디스크의 원인이 되었지만 최근 들어 증가하는 원인은 잘못된 자세와 같은 ‘생활습관’에 있다. 구부정한 자세로 컴퓨터 화면이나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 목에 가해지는 하중은 최대 18kg까지 된다고 한다. 이는 5살 아이 한 명의 평균 무게를 경추에 부담시키는 것과 같다.

이처럼 구부정한 자세로 인해 목디스크 환자가 늘고 있음에도 조기에 증상을 발견하고 치료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거북목, 일자목 등 외관상 변형이 일어난 경우 목디스크보다는 체형교정 쪽에 초점을 맞추기가 쉬운데 그보다 중요한 것은 ‘추간판’의 탈출 여부와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있다.

흔히 목디스크가 발생하면 목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 통증은 경추의추간판이 탈출한 위치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만약 뇌와 신경이 연결된 경추의 제 1, 2, 3, 4번 사이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두통, 현기증, 이명, 가슴 답답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깨와 팔,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신경근이 위치한 제 4, 5, 6, 7번 경추에 문제가 생긴 경우 어깨와 팔 등에 통증이 느껴지게 된다. 이를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오십견’등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목디스크는 손끝까지 저린 느낌이 든다면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둘러싼 관절막이 굳는 것이기 때문에 어깨가 뻣뻣한 느낌이 든다는 차이점이 있다.

목 주변 통증과 더불어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진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목디스크 중기’로 판단하지만 정밀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진행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초기에 해당하는 경우 물리치료, 침, 추나요법 외에 물리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환자의 관절과 연부조직의 위치를 바르게 정렬시키는 도수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양주가람한방병원 이수경 원장은 “도수치료는 신경, 근육, 골격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를 요구하기 때문에 스포츠 마사지와 동일하게 여겨서는 안 된다.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전문 물리치료사의 운동·재활치료는 물론, 생활습관까지 바로잡아주는 교정까지 포함되어야 목디스크 재발을 막고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