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고 신체 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치아도 점점 마모되고 약해지기 시작한다. 잇몸 역시 이러한 영향을 받아 손상될 수 있으며, 여기에 관리가 소홀해지면 염증이 발생해 치주염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잇몸 염증이나 외상 등의 이유로 치아가 소실되면 임플란트나 틀니와 같은 치료로 자연치아의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임플란트는 치아 본래의 형태와 구조,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수복하는 치료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에 가까운 저작력을 낼 수 있는 치료이지만, 안전하고 정확도 높은 결과를 위해서는 충분한 잇몸뼈가 필요하다. 부산 서면 클란트치과 조혜진 원장은 임플란트 식립 전 뼈의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잇몸은 치아를 지탱하고 받쳐주는 토대가 되며, 임플란트 역시 인공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픽스처를 잇몸뼈에 식립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뼈가 부족하거나 염증이 있는 경우 치아 뿌리가 정상적인 유착이 되지 않고, 이후 사용과정에서 치아가 흔들리거나 탈락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치아와 마찬가지로 잇몸 역시 시간이 지나고 자연적으로 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치아를 상실한 부분은 뼈의 흡수나 퇴축이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치아 상실 후 오랜 기간이 지났거나 장기간의 틀니 사용, 치주질환 등으로 인해 뼈의 폭과 높이가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면 부족한 만큼의 뼈를 이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개인마다 잇몸과 뼈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정밀한 진단과정을 바탕으로 치료 방향을 결정하며, 치조골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뼈이식임플란트를 진행한다. 뼈이식임플란트는 치조골이 부족한 부분에 뼈이식재를 보강해 안정적인 골유착을 유도한다. 이러한 뼈이식 재료에는 일반적으로 자가골이나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을 사용하는데, 각 재료마다 장, 단점이 있으며 환자의 뼈 흡수 정도 및 손상 범위, 이식해야 하는 뼈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재료를 선택한다.

뼈 이식 과정과 함께 임플란트를 동시에 식립하거나, 또는 뼈이식을 먼저 진행한 다음 충분히 골형성이 이루어진 다음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 역시 뼈의 상태에 따라 치료과정 및 기간에 차이가 나타난다.

부산 서면클란트치과 조혜진 원장은 “뼈이식임플란트는 난이도가 높고 정교한 치료과정이므로 뼈의 흡수 정도 및 잔존하는 뼈의 양, 이식재료 등 다각도의 검진을 통해 적절한 방법으로 진행해야 하며, 사후관리에도 신경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