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안병용 기자] 우리나라도 미래 먹거리 창출의 핵심 인프라가 될 우주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4일 발간한 ‘우주산업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주요 트렌드와 시사점’에서 최근 우주산업의 트렌드로 △민간투자 확대 △상업적 비즈니스 모델 확산 △기술 및 비용 혁신 △위성의 수요 및 영역 확장 △국가 간 우주개발 경쟁 격화 등 5가지를 꼽았다.

오랜 시간동안 우주산업은 정부가 주도해왔으나 최근 몇 년간 민간 기업들의 투자와 참여가 크게 확대되면서 인공위성 활용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우주선의 항공 운송 활용, 우주관광 등 우주산업의 상업 비즈니스 모델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관련 기술의 혁신과 비용 하락으로 우주산업의 경제성이 제고되며 위성산업의 수요와 활용 영역도 영상, 기후 예측 등 분야에서 통신, 탐사관측, 교통, 국방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우주산업 생태계의 확장, 공공-민간의 협력 강화로 대단위 우주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주요국간 우주개발 경쟁도 격화하고 있다.

보고서는 “우주산업의 73%를 차지하는 위성산업의 규모가 지난 10년간 1.6배나 성장하면서도 2018년 이후부터는 다소 하락세로 보이고 있는 이유는 산업이 쇠퇴해서가 아닌 기술혁신이 비용 절감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라며 “인공위성 초고속 통신(6세대 이동통신)이 가능해지면 자율주행, 드론, 도심공항 모빌리티, 홀로그램 등 초실감 몰입형 미디어 등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초고속 인터넷 시장에서 스페이스X, 원웹 등 사업자간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관련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라면서 “로켓을 배송과 여행에 활용하면 약 8시간이 소요되는 런던-뉴욕의 비행시간이 29분으로 줄어들고, 당일 제품배송 및 당일 여행이 현실화되는 등 여행과 운송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주산업은 산업 전반에 걸쳐 우리의 미래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이다. 세계 우주산업도 2020년 3710억 달러(약 423조원) 규모에서 2040년에는 1조1000억 달러(약 1286조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우주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3조 8931억 원으로 세계 우주산업의 1% 안팎 수준에 불과해 보다 적극적인 육성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역협회 정귀일 연구위원은 “우주산업은 오랫동안 혁신이 정체된 분야였지만 글로벌 기업들의 진입으로 생산성이 제고되고 성공적인 사업모델이 생겨나고 있다”면서 “민간기업은 기술·비용 혁신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정부는 기업들의 우주개발 참여를 위한 예산지원을 확대하고 성장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