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경총
[데일리한국 안병용 기자] 올해 원자재값·인건비 등 공급원가가 대폭 상승했지만, 이를 납품대금에 반영한 중소기업은 10곳 중 1곳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7월 원자재 가격 상승폭이 컸던 9개 업종 64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업종별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에 따르면 회원사의 거의 대부분인 96.9%가 2020년 말 대비 올해 공급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상승률은 26.4%인 것으로 조사됐다.

공급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한 조합원사의 45.8%는 납품대금에 비용 상승분을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 ‘일부 반영’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47.9%였다. ‘일부 반영’한 경우 공급원가 상승분 대비 납품대금 반영 수준은 평균 31.4%에 그쳤다. 반면 ‘전부 반영’을 응답한 기업은 6.2%에 불과했다.

납품대금에 비용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한 주된 이유로는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단가 인상 요청 어려움’(54.7%)과 ‘거래단절 등 불이익 우려’(22.8%)를 꼽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관련 위탁기업(원사업자)과 거래관계에 있는 ‘승강기’, ‘레미콘’, ‘가구’ 업종의 경우 공급원가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각각 82.6%, 59.9%, 50.0%로 높게 나타나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경영 애로를 가장 크게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연동하는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에 대한 의견으로는 ‘필요하다’(78.5%)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납품단가 반영이 미흡하다고 응답한 ‘승강기’, ‘레미콘’ 업종에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각각 100.0%와 83.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공급원가 상승에도 불구, 납품대금 인상에 비협조적인 업종에 대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중점 실태조사 업종으로 선별해 강력한 현장조사와 시정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며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에 대한 논의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이번 조사결과를 공정위에 송부하고, 공정위가 계획중인 납품대금 조정실태 점검 추진 과정에서 납품단가 인상에 애로를 겪는 업종을 중점 관리조사 업종으로 선정해 면밀한 점검을 추진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