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부산공장 전경. 사진=르노삼성차 제공
[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현대자동차를 시작으로 한국지엠, 기아까지 올해 임단협을 ‘하투(夏鬪)’ 없이 마무리 지었다. 그러나 르노삼성차는 올해 임단협은 물론, 지난해 임단협까지 끝내지 못하며 노사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30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차 노사는 지난 25일 진행한 13차 교섭에서 입장 차이를 줄이지 못하고 결렬을 선언했다. 노사는 이번 주 교섭을 재개할 예정이지만, 기본급 등 핵심 사안에 입장차를 쉽게 줄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측은 지난 13차 교섭에서 2020·2021년 임단협 통합 교섭, 기본급 동결 보상금 200만 원, 생산성 격려금 1인당 평균 200만 원 등 800만원 일시금을 제안했다. 그러나 노조 측은 월 7만1687원 기본급 인상과 격려금 700만 원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양측 사이에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기본급이다. 사측은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적자와 실적부진으로 기본급 동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르노삼성차의 지난해 내수와 수출을 더한 전체 판매 대수와 생산 모두 2004년 이후 1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영업이익도 797억원 마이너스를 기록, 2012년 이후 8년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올 상반기 역시 누적 판매량이 적자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47.8% 급감했다.

르노삼성차는 올해 1월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하며 수익성 강화에 나섰다. 서바이벌 플랜의 골자는 조직의 구조개선과 고정비 절감이다. 이는 본사인 르노 그룹이 발표한 ‘르놀루션’ 경영전략안에 따른 것이다.

르노 그룹은 최근 수익성 강화를 중심으로 경영 방향을 전환하는 경영전략안을 발표, 르노삼성차 공장을 지목하며 수익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아울러 르노그룹도 올 상반기 판매량을 전년보다 18% 가까이 늘린 가운데도 급여를 동결한 상황에서, 실적이 저조한 르노삼성차의 기본급 인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반면 르노삼성차 노조는 기본급을 4년 동결하라는 것은 사실상 급여를 삭감하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흑자를 기록했던 2018년과 2019년, 회사의 미래와 생존을 위해 조합원들이 희생했지만, 돌아온 것은 4년간 기본급 동결이라는 제시안이라고 노조 측은 주장하고 있다.

특히 노조 측은 최저시급 조차 2018년부터 올해까지 15.8% 인상됐는데, 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일부의 기본급이 최저시급에 미달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 측은 “국가가 정한 최저시급도 따라가지 못해 조정수당 지급으로 최저시급의 법망을 피해가고 있다”면서 “기본급이 동결될 경우 내년 최저시급 5.1% 인상으로 조정수당을 받게 되는 인원이 더욱 늘어나게 된다”고 밝혔다.

노사간 입장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르노삼성차의 미래 먹거리 가운데 하나인 친환경차 위탁판매 사업이 협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르노삼성차는 중국 지리자동차와 볼보의 합자사인 ‘링크앤코’의 친환경차를 위탁생산하는 방안을 두고 협의에 들어갔다. 아직 구체적인 사안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올해 안으로 윤곽이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각에선 르노삼성차의 명운이 걸린 핵심 모델 XM3의 수출 물량 확보가 급한 상황이라 임단협 교섭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삼성차만 교섭이 끝나지 않아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 상태지만, 노사간 교섭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면서 “르노삼성차 노사 모두 회사의 사활이 걸린 XM3 유럽수출을 안정적으로 가지고 가야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