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쌍용차 제공
[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쌍용차의 기업회생 절차 시행을 결정할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 기간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쌍용차는 내달 28일까지 새로운 투자자를 찾지 못하면 기업 회생절차, 즉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된다. 쌍용차는 이달 내에 투자자를 확정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지분 매각 등에 난항을 겪으며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상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와 대표채권자 산업은행, 유력 투자자로 부상한 미국 자동차 유통업체 HAAH 오토모티브 등과 합의체를 구성해 쌍용차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이다.

현재 협의체는 대주주 마힌드라의 지분 매각을 놓고 의견차를 보이며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규 투자자인 HAAH은 경영권을 인수하더라도 마힌드라가 주주로 남길 원하고 있다. 산은도 쌍용차의 차입금에 대한 마힌드라의 책임분담 차원에서 HAAH와 같은 입장을 고수중이다.

그러나 마힌드라는 최근 코로나19로 재무상태가 나빠져 쌍용차 지분을 모두 넘기고 완전히 빠지겠다고 맞서고 있다. 지분 매각 후 협의된 일정기간동안 지분을 유지하겠지만 그 기간이 끝나면 바로 모든 지분을 매각하겠다는 의도다.

현재 마힌드라는 쌍용차 지분을 70%이상 보유한 대주주다. HAAH는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해 마힌드라가 보유한 쌍용차 지분율을 40%이상 우선 확보할 계획이다. HAAM이 지분을 인수해도 마힌드라는 30%가량의 지분을 여전히 보유하게 된다.

산은과 HAAM은 쌍용차의 경영정상화까지 마힌드라가 책임을 지고 주주로 남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쌍용차가 연체 중인 외국계은행 차입금 조건도 ‘마힌드라가 쌍용차 지분 51%를 초과 유지해야 한다’인 만큼 마힌드라가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쌍용차는 마힌드라와 HAAH 사이의 지분 인수가 원만히 마무리되면 기업회생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인수협상이 불발되면 회생절차를 개시한 뒤 매각을 다시 추진할 수 밖에 없다.

쌍용차는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을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Plan은 회생절차개시 전까지 사전계획안을 제출하고 그 사전계획안을 심리·결의해 인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회생절차다.

쌍용차가 P-Plan을 적용할 경우엔 일반적인 회생 절차에 비해 신속하게 신규 자금이 투입,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P-Plan은 결국 기업회생 절차 시행으로 간주돼 쌍용차의 기업이미지와 협력사들의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한편 산은은 쌍용차에 신규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지원에 나섰다. 다만 쌍용차 노사에 일체의 쟁의 행위를 중지하고 단체 협약을 3년 단위로 늘리라는 조건을 걸었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쌍용차 노사에 “구조조정 기업이 정상화하기 전에 매년 노사 협상을 위한 파업이 많았다”며 “흑자 나기 전까지 일체의 쟁의행위를 중단하고, 단체협약을 1년에서 3년 단위로 연장해달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쌍용차 노조는 고용보장과 미래담보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쌍용차가 처한 위기는 노사관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마힌드라의 약속 불이행과 산업당국의 외투기업 정책부재가 만든 것”면서 “대주주 외투 자본이 저지른 책임과 위기를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HAAH사로의 매각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듯 보이지만, 불투명하고 불안정한 매각협상에 우리의 권리와 생존권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매각협상의 타결 쟁점은 노조가 자구안을 수용하는지 여부가 아니라 제3의 먹튀를 막을 수 있는 장치 마련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