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포스코 제공
[데일리한국 신지하 기자] 세계 최대 철강 생산·소비국인 중국이 조강생산량을 줄이겠다고 발표하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신식화부(공신부)는 최근 탄소 배출 저감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올해 조강생산량을 지난해보다 줄이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생산 규제에 나서고 새 철강 생산능력 교체 기준을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철강 생산 감축이 현실화하면 국내 철강업체들은 중국발 공급과잉이 해소되면서 제품 가격 협상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현욱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2010년부터 중국의 공급과잉(순수출)이 본격화됐고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해 글로벌 철강가격을 교란시켜 왔다"며 "2016~2018년의 설비 폐쇄와 꾸준한 수요 증가로 그 규모는 감소하긴 했으나 작년에도 약 3000만톤을 순수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중국 철강 수요가 예상대로 2% 성장하고 생산은 1% 감소한다고 가정하면 중국의 철강 순수출은 해소가 된다"며 "이는 각국 철강업체들의 전방산업에 대한 가격협상력이 확대된다는 의미이고 실적 개선에 기여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중국의 전기로 비중 확대가 가속화하면서 그에 따른 철강 가격 인상 수혜도 기대된다.

현재 중국의 전기로 비중은 12% 수준인데 14차 5개년 계획 기간인 2025년 목표를 20%로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중국은 올해부터 철스크랩 수입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터키에 이어 세계 2위의 철스크랩 수입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연구원은 "글로벌 수요가 회복되는 상황에서 철스크랩 가격 상승은 철강가격 인상과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조강생산량 감소가 현실화될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철강사들의 마진 호조를 감안할 때 시장은 그 실효성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며 "중국이 산업 생산 규제가 가능한 경제 체력을 회복했는지도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공개된 철강 생산능력 교체 비율 개정은 기존보다 강화됐으나 신규 투자에 적용되기까지는 2~3년의 시차가 있을 것"이라며 "정부 발언이 최근 급등한 철광석 가격 안정화를 위한 의도에서 나왔을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중국의 조강 생산량 감축 발언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된다며 "올해 2000만톤 이상의 생산능력 순증이 계획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순증량을 최대한 억제하는 정도의 지엽적 규제는 가능한 상황"이라며 "철광석 투기 수요가 완화되는 효과 발생이 가능해 결론적으로 철강 수급 개선과 원재료 가격 안정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