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보험대리점 통한 새로운 리테일 영업채널로 돌파구 찾아
금소법 시행으로 판매사 처벌 강화돼 리스크 가능성 높아

[데일리한국 견다희 기자] 삼성증권이 법인보험대리점(GA) 소속 투자권유대행인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면영업이 어려워지자 새로운 영업채널 마련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불완전판매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에 등록된 투자권유 대행인 수는 4627명으로 현재 58개 증권사 중 투자권유대행인 제도를 운영하는 21개사 중 가장 많다. 투자권유대행인 등을 통해 유치하고 있는 자산도 6조원 규모로 크다. 지난 2018년과 비교하면 53% 가량 늘어났다. 이 중 해외주식과 퇴직연금은 각각 435%, 106% 급증했다.

투자권유대행인 제도는 증권사에는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한 새로운 판매 채널을 제공할 목적으로, 투자자에게는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2006년 도입됐다.

투자권유 대행인은 대부분 GA 소속 보험 설계사다. 개인 자격으로 증권사와 계약을 맺고 금융상품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를 증권사에 소개해 준다. 이에 대한 대가로 해당 고객의 계좌에서 발생한 증권사 수익 중 일정 부분을 가져간다.

투자권유 대행인은 지난 2008년 4만명까지 급격하게 늘었다가 불완전판매 이슈 등이 불거지면서 3만명대 초반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난 2019년을 기점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삼성증권은 GA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한 투자포럼을 진행하는 등 투자권유대행인 모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달 초에도 GA CEO 대상 투자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처럼 GA와 손을 잡고 투자권유대행인 확보에 적극 나선 이유는 최근 수년간 진행한 지점 통폐합 등으로 오프라인 리테일 영업기반이 약화됐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국내 45개 증권사들의 국내 지점수는 830개다. 이는 통계를 시작한 1999년 3월 말 이후 최저 수준이다. 코로나19 이후 지금까지 사라진 증권사 지점 수만 69개다. 그중 최근 1년간 지점을 가장 많이 줄인 곳도 삼성증권으로 총 11곳의 오프라인 지점을 폐쇄했다.

이로 인해 삼성증권은 주식시장 활황으로 리테일 영업의 필요성이 커졌지만 관련 기반은 약해졌다. 비대면 기술을 활용해 고객과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은 있지만 종목과 상품에 대한 설득과 이해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발로 뛰는 전문가도 필요한 상황이다.

보험업계에서도 삼성증권이 먼저 내민 손이 반갑긴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이후 보험설계사의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조직 유지를 위해 부업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투자권유대행인 제도로 증권사와 보험사 모두 영업기반을 넓히는 전략이 시의적절하게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 “증권사는 신규고객을 확보하고 투자권유 대행인은 증권사로부터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시너지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증권사 입장에서 투자권유대행인은 고정급여가 없고 자신이 판매한 금융상품 수익에 따른 수수료만 받기 때문에 조직운용에 따른 부담이 적다”면서 “최근 GA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리테일 영업으로 증권사들이 돌파구를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올해 신설된 금융소비자보호법으로 불완전판매에 대한 판매사 처벌이 강화된 가운데 GA를 통한 영업이 오히려 삼성증권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투자권유 대행인은 대부분 보험영업이 주력으로 증권사 소속 직원에 비해선 전문성이 부족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투자권유대행인과 관련한 세부 처벌 규정도 아직 미비하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권유대행인의 불완전판매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하면 판매사인 삼성증권이 1차적으로 손해를 물거나 제재 대상이 된다”면서 “투자권유대행인은 개별사업자 신분이라 문제가 발생해도 제재가 쉽지 않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