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심정선 기자]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가 개최 강행을 발표하자 참가 여부를 두고 게임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스타조직위(이하 조직위)가 행사 강행 결정을 내렸다. 이에 각 개발사들은 부스 운영·참가 빌드 등의 검토를 진행해야 할 처지다.

게임 전시회의 특성상 지스타도 많은 관람객이 한 공간에 모일수밖에 없기 때문에 감염 위험도가 높아 개발사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이런 우려로 인해 현재 국내 주요 개발사들 중 참가 여부를 밝힌 곳은 아직 없다. 올해 B2B(business to business) 참가를 계획했던 개발사 또한 2주간 자가격리 의무 등으로 사실상 해외 바이어들의 참가가 불가능한 만큼 B2B 참가를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참가를 독려하기 위해 조직위 측에서는 참가비 할인과 행사 취소시 전액 환불 정책을 내걸었다. 하지만 개발사들의 불안감과 부담을 줄이기엔 역부족이라는 반응이다.

개발사 입자에선 참가비 부담 보다는 개발 이슈 추가와 부스 꾸미기·운영 등이 더 큰 부담이라는 것. 업계에선 년 단위로 짜여 있는 현 개발 마일스톤(milestone, 주요 단계)에 개발 내용이 추가되는 것이 더 큰 부담이라고 입을 모은다.

게임 개발은 개발 비용 대부분이 인건비일 정도로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그만큼 인력 소모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지스타 등의 게임쇼 출품을 위해서는 추가 빌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개발사들은 전시와 체험용으로 연출, 시나리오 등 기존 개발 소스를 최대한 활용해 하나의 미니게임을 만들어야한다. 여기에 보안 등의 문제도 신경써야한다. 지난 '지스타 2015'에서는 넥슨의 '야생의 땅: 듀랑고' 시연 기기에 데이터 해킹 시도가 벌어지기도 했다.

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해 비접촉 환경인 재택근무 비중이 높아져, 대부분의 개발사가 기존 마일스톤 대비 작업 상황이 늦어져 있다. 이 상황에서 지스타 전시용 빌드 개발 추가는 부담일 수 밖에 없다.

이처럼 지스타 강행 결정은 위험 부담을 참가사에 전가한 셈이다. 특히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 상황에 따라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면 행사 취소가 불가피하다. 특히 지스타에서 코로나19 환자 방문이 발견되면 행사는 즉시 취소된다. 행사종료 후 확진자 방문이 판정날 경우, 매년 전국에서 20여만명이 찾는 지스타인 만큼 어느 정도 규모의 자가격리가 필요할지 가늠하기조차 힘들다.

궁극적으로 게임사들의 진흥을 위한 게임쇼라면, 온라인 개최로 전면 변경해도 좋을 것이다. 코로나19의 완벽한 방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전면 온라인 개최를 진행한 독일 게임쇼 '게임스컴'의 선례는 우리에게 많은걸 시사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