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금통위 예정…기대인플레이션 최고치, 금리 역전현상 늦춰야
미국, 0.75%포인트 이상 상향 가능성…가계·기업 이자부담↑ 우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정우교 기자] 오는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두고 사상 첫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6%대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도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계속 인상하겠다고 시사해서다. 물가를 잡고 기준금리 역전 현상을 늦추기 위해서는 우리도 0.5%포인트 이상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통위는 오는 13일 예정돼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4차례 금통위 중 3차례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한 바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5월 26일 금통위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의 인상을 시사하면서도 물가상승률, 2분기 국내총생산(GDP), 연준의 FOMC 결과 등을 참고한 후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가 거론한 지표 중 물가상승률은 지난달 24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 상승했다. 전월 상승률 5.4%보다도 0.6%포인트 높아졌다. 품목별로는 등유, 경유가 각각 72.1%, 50.7% 뛰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를 포함한 전체 공업제품은 9.3% 올랐다. 이외에도 △전기·가스·수도 9.6% △농축수산물 4.8% △서비스 3.9% 등 전 품목이 상승세를 나타냈다.

당분간 인플레이션은 계속될 전망이다. 전기, 가스 요금이 이달 1일부터 인상됐고 공급망을 위축시켰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장기화되고 있어서다. 게다가 중국의 코로나 봉쇄 여파도 지속되고 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 대비 0.6%포인트 상승한 3.9%다. 10년 만에 4%를 육박하는 기대인플레이션이 향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대목이다. 

또한 미국 연준의 매파적(긴축적) 기조도 빅스텝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최근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들은 통화정책을 현재보다 더 긴축적이어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연준은 이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난달 기준금리 상단을 1.00%에서 1.75%까지 끌어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다.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0'다. 지난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다음 FOMC 회의에서 금리를 0.5%포인트 또는 0.75%포인트 상승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일각에서는 이보다 더 높게 인상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파월 연준 의장이 0.50%포인트 또는 0.75%포인트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여전히 물가 상방 리스크가 우세하고 연준 위원들도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돌아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1.00%포인트 인상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1.00%포인트 인상이 무리라면 연말까지 빅스텝 내지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해 6월 점도표에 제시된 수준보다 높은 기준금리가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도 자본유출 등을 막기 위해 최소 0.50%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결론이다. 

일부에서는 0.75%포인트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연준이나 한국은행의 역할은 '물가안정'이다"라며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고 시사했기 때문에,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역전을 막기 위해서는 최소 0.75%포인트에서 1.00%포인트 정도 올려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동시에 김대종 교수는 기준금리 지속적인 인상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그는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다보면 대출을 받은 가계·기업들의 이자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라며 "특히 이자를 상환하는 한계기업이 나올 가능성이 많으며 개인들도 소비·투자 위축으로 경기가 침체될수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