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 '한국전 전쟁포로 및 실종자 가족협회' 입법국장 인터뷰

북한이 송환한 한국전 전사 미군유해 55구를 위한 추도행사가 2018년 7월, 오산 미 공군기지에서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승훈 기자] 한국전쟁 때 북한에서 사망했지만 유해를 돌려 받지 못한 미국의 전사자 가족들은 이달 말 베트남에서 열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유해 송환을 위한 논의의 획기적인 진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 내 한국전 전쟁포로 및 실종자 가족협회의(Coalition of Families of Korean & Cold War POW/MIAs)의 도나 녹스 입법 정책 담당 국장은 "1월31일 미국 국방부 담당자와의 전화 회의에서 유해 송환 문제가 2차 북미정상회담 의제에 포함됐다는 확인을 받았다"고 19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다.

녹스 국장은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집으로 돌아온 유해가 55구이지만 2차 회담 뒤에는 이보다 훨씬 많은 수의 유해가 고향 땅으로 돌아와 묻힐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녹스 국장은 "5300여명의 미군 유해가 북한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녹스 국장은 "미국과 북한의 지도자가 이들이 다시 고향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합의를 한다면 북미 간의 다른 외교적 문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녹스 국장은 "추락한 미국 전투기의 잔해가 떨어진 지역으로 추정되는 북한 내 600곳이 아직 수색도 진행되지 않았다"면서 "900여명의 실종자 유해를 찾기 위해서라도 미수색 지역의 조사가 시급히 재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녹스 국장은 "부친이 한국으로 파병된 직후인 어머니 태중 두 달 때 부친이 실종됐다"면서 "자신은 한국전쟁 실종자 가족협회의 공동 설립자로 부친을 비롯한 미군 전사자의 유해를 되찾기 위해 평생을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18일 가족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북한이 미군으로 확인한 모든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협의해달라"고 촉구했다.

미 국방부는 한국전쟁 때 참전했던 미군 중 7835명을 여전히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실종자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중 5300여 명이 북한 지역에서 실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과 미국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 함경남도 장진호와 평안북도 운산에서 공동으로 유해발굴 작업을 벌였다.

양국은 2011년 북미관계 개선에 따라 유해발굴 작업 재개에 합의했고 미군유해 발굴단이 북한에 들어갔지만 2012년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강행 뒤 전격 철수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