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방파제 인근에서 발견된 정체불명의 고무보트(왼쪽)가 근흥면 신진항 태안해경 전용부두 야적장에 옮겨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임진영 기자] 중국의 밀입국 루트로 태안 해안이 연이어 뚫리면서 군과 해경의 안이한 경계태세가 질타를 받고 있다.

5일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지난 4월 18일 오후 5시경 중국인 5명이 고무보트를 타고 산둥성 웨이하이항을 출발해 17시간 만인 다음 날 오전 10시경 충남 태안 일리포 해안에 도착했다.

이어 지난 5월 20일 오후 9시경 또 다른 중국인 8명이 웨이하이항에서 1.5톤급 레저 보트에 몸을 싣고 14시간 항해 끝에 다음날 오전 11시 23분경 태안 의항 방파제 갯바위에 하선했다.

불과 한 달 사이에 중국인 13명이 태안 해안으로 밀입국을 한 것이다. 이 과정에는 중국 밀입국 조직이 개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황준현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수사정보과장은 "두 건 모두 중국에서 중국인 모집책이 채팅앱인 '위챗'을 통해 밀입국 희망자를 모집했다"고 밝혔다.

황 과장은 "지난달 밀입국의 경우 개인당 1만위안(한화 172만원), 4월 밀입국은 1만5000위안(한화 260만원)을 모집책에게 송금했고, 모집책이 그 자금으로 보트와 유류 등을 구매한 뒤 밀항 시기에 맞춰 집결해 한국으로 밀입국했다"고 설명했다.

태안 지역 경계를 맡고 있는 군은 보트로 추정할 수 있는 식별 가능한 상태의 영상 표적을 수차례 확인했지만, 이를 밀입국 보트로 판단하지 못했다.

특히 4월 밀입국 당시엔 군의 열상감시장비(TOD) 영상 녹화 기능이 고장까지 나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TOD 녹화 체계는 밀입국 보트가 찍혔을 것으로 추정되는 4월 19일 오전 5시 30분경부터 약 다섯시간 동안 먹통이었다.

정체불명의 수상한 보트가 며칠 동안 해안가에 표류해 있었는데도 주민 신고를 받고서야 확인한 점도 비판받는 지점이다.

군 관계자는 "해안지역이 워낙 넓어 제한된 장비와 인원으로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밀입국 보트가 발견된) 의항 인근은 주민 신고 등 여러 장치로 보완해 왔지만, 이번에 다시 분석해 보겠다"고 해명했다.

해경의 안이했던 판단도 질타를 받고 있다. 해경은 4월 밀입국 보트를 양식장 수산물 절도범 정도로 치부bk로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

이후 4월 보트 밀입국 용의자 2명을 검거한 후에야 해경은 이번 사건을 밀입국 사건으로 전환했다.

이날 중부지방해양경찰청은 4월 밀입국자 검거와 관련한 언론 브리핑을 갖고 "서해안 특성상 표류 보트가 많고, 양식장 절도에 이용되는 보트가 많아 그런 것"이라며 "5월 레저 보트 밀입국 사건을 수사하던 중 (4월 보트) 용의자가 붙잡히면서 수사를 전환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보트가 해안에 정박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한 후에도 해경이 늑장 대응을 한 사실도 드러났다.

지역 주민이 4월 20일 오후 2시 45분경 해경에 "정체불명의 보트가 있다"는 취지의 신고를 했지만, 해경은 이 사실을 거의 두 시간 여가 지난 오후 4시 30분 경에나 군 당국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선박을 발견하면 해경은 합동 심문을 위해 경찰과 합참, 국정원 등에 즉시 알리도록 돼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