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한계로 연구자 간 이견 발생…목표 중량·발사 일정 등 수정

과기정통부는 10일 국가우주위원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달 궤도선 개발 일정을 오는 2022년 7월까지 19개월 연장하고 목표 중량을 678kg 수준으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최원호 과기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이 이날 세종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달궤도선 개발 일정 연기 등 달 탐사 사업계획 변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정하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달 주위를 돌며 탐사임무를 수행할 달 궤도선의 발사 일정을 2022년 7월 이내로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원호 과기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정책관은 “달 궤도선은 2017년 8월 예비설계 이후 상세설계 및 시험모델 개발과정에서 기술적인 한계로 경량화에 어려움을 겪어 당초 목표였던 550㎏보다 중량이 128㎏ 증가하게 됐다”며 “중량 증가로 인한 연료부족과 이에 따른 임무기간 단축 가능성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됐고, 기술적 해법에 대한 연구자 간 이견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최 정책관은 이어 “특히 연구자 간에 678㎏급 궤도선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하다는 입장과 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대립했다”며 “이에 대한 이견 조정이 어려워 사업이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최 정책관은 “정확한 원인규명과 해법 마련을 위해 우주분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평가단을 운영해 해법을 도출토록 했다”며 “ 점검평가단은 목표 중량은 678㎏으로 조정, 달 궤도선 발사는 2022년 7월 이내, 임무궤도 최적화를 통한 임무기간 1년 유지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최 정책관은 “(점검평가단은) 아울러 달 탐사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항공우주연구원 내부의 위험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항우연 내 달탐사사업단에 경험이 풍부한 연구인력을 보강하며, 기술적 사항들이 합리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의 상시적인 점검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07년 노무현정부 당시 과학기술부는 2017년부터 달 궤도선을 개발해 2020년 발사하고 달 착륙선은 2021년부터 개발해 2025년 발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박근혜정부 당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달 궤도선 2017~2018년 발사, 달 착륙선 2020년 발사’로 수정됐다.

이후 문재인정부는 박근혜정부에서 수정했던 계획을 노무현정부가 계획했던 일정으로 다시 조정했다. 다만 달 착륙선은 한국형발사체를 이용한다는 조건 하에 2030년 내 발사키로 했다.

한편 현재까지 달 궤도선을 개발하고 달 궤도 진입에 성공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중국, 인도 6개국이다. 달 표면에 착륙선을 보낸 국가는 러시아, 미국, 중국 3개국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