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 "과학기술 기반 저감실증부터 원인규명 및 대응 시급한 상황"

[데일리한국 송찬영 환경전문기자]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원별로 종합적인 원인 규명과 함께 그간 저감 조치가 어려웠던 특수 장비, 소각장 등에 대한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내 신규과제로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영향 규명 및 실증’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 사업에는 올해 90억 원, 내년 180억 원, 2021년 180억 원 등 3년간 총 450억 원을 투자한다.

먼저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함에도 실효적인 저감 조치가 부족했던 특수 장비, 노후 소각장 등 배출원에 대한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에 3년간 총 250억원을 투자한다.

사업장·항만 농촌 등 미세먼지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한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원인규명 및 영향도 분석 고도화를 위해서 약 3년간 총 200억원을 투자한다.

이 사업의 경우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을 사업장·자동차·항만·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미세먼지 생성·이동·확산 및 주변 대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 다양한 발생원 별 미세먼지 원인을 심층·종합적으로 규명한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으로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별 배출량 및 영향도 등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 등이 제시되고, 권역별 미세먼지 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사업 과제 공고는 주요 발생원별 원인규명 고도화(8.9~8.28), 배출원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실증(8.16~8.30)으로 나누어 각각 공고가 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저감 실증부터 원인규명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과학기술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