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소방·국과수·한전 등 10일 합동감식 진행…사망자 7명 중 6명 ‘신원확인’

9일 오전 화재가 발생한 서울 종로구 관수동의 국일고시원 앞에서 경찰 과학수사팀 관계자들이 감식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진우 기자] 9일 발생한 서울 종로구 고시원 화재사고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은 전열기 문제로 불이 났을 개연성을 염두에 두고 사실관계 확인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이날 “고시원 3층에서 발화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1차 현장감식 결과와 301호에서 불이 난 것을 봤다는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301호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301호 거주자 A(72)씨는 경찰에 전열기 전원을 켜고 화장실에 다녀온 뒤 전열기에서 불이 난 것을 목격, 불을 끄려했으나 실패해 대피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장에서 인화물질이 발견되지 않아 방화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으며, 최종 수사결과에 따라 A씨를 입건할 방침이다.

사망자 7명 중 6명(일본인 1명 포함 54~79세 남성)은 지문을 통해 인적사항이 확인됐으며 중앙의료원에 안치된 나머지 1명의 신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이들의 사인은 부검영장을 신청해 밝힐 계획이다.

경찰은 정확한 화재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10일 오전 10시 소방·국립과학수사연구원·한국전기안전공사 등 관계기관과 합동감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소방당국은 사망자 중 일부가 좁은 복도 때문에 사망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국일고시원 건물은 1983년에 완공됐다. 고시원으로 사용된 2~3층은 총 52개의 방이 밀집돼있다.

해당 층의 복도는 약 80cm 정도의 폭으로 7명의 사망자 중 4명은 복도에서 발견됐다. 많은 방이 밀집 된데다 출입구로 향하는 복도까지 좁아 피해를 키웠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이유다.

고시원 각 층은 4.95∼9.91㎡(1.5∼3평) 규모의 방이 빈틈없이 연결돼있는 구조다. 최초 화재가 발생한 3층은 ‘ㄷ’자 구조로, 건물 바깥쪽에 17개, 안쪽에 12개 방이 배치됐다.

소방당국은 이런 구조인데다 유일한 출입구가 불길에 휩싸여 3층 거주자들이 혼란을 겪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