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박현영 기자] 1980년대 초반부터 지속되고 있는 저출산으로 인해 향후 출산율이 크게 증가하더라도 인구 감소는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ISSUE & FOCUS)' 제352호의 '미래 인구변동의 인구학적 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 인구는 2015년 5101만5000명에서 2115년 2581만5000명으로 2520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100년만에 인구의 절반(50.6%)이 감소하는 수준이다.

특히 합계출산율이 2045년까지 인구 대체 수준인 2.1명으로 상승해도 전체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안정상태에 접어드는 것으로 전망됐다. 합계출산률은 여자 한 명이 15∼49세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결국 출산률이 늘어나더라도 2115년 인구는 2015년 기준의 72% 정도에 그친다는 전망이다.

이같은 현상은 저출산이 30년 이상 지속돼 출산율이 크게 상승해도 전체 인구에서 가임기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축소됐기 때문이다.

보고서 집필자인 우해봉 인구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인구 감소는 인구 고령화와 동시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로 인해 인구 문제에 대한 대응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앞으로 한국 사회가 직면할 인구변동이 경제, 노동시장 영역을 넘어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패러다임으로의 본격적인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