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착유생 1개체 번식력↑ 자가분열로 5000개까지 증식

해양생태계 교란·어업인 피해 유발 해파리 '원천 차단'

다 자란 보름달물해파리.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해양수산부가 ‘바다의 불청객’ 해파리와 전쟁을 선포했다.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계획을 바탕으로 해역별 집중관리로 전환, 해양생태계 교란과 함께 어업인에게 피해를 주는 해파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계획’을 수립,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우리 연근해에서 주로 발견되는 해파리 종은 지름 15㎝ 내외의 투명한 몸체를 가진 ‘보름달물해파리’로, 대부분은 연안 인공구조물에 붙어산다. 이 해파리는 어구와 어획물 품질을 상하게 해 연간 3000억원(2009년 기준)의 경제적 피해를 유발한다. 번식력도 강한 편이다. 최초 발생한 부착유생(폴립) 1개체는 자가분열해 약 5000개체까지 늘어난다.

이에 해수부는 2012년부터 안산 시화호 등에서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을 실시, 성체 수 기준 90%가량의 개체를 박멸했다. 또한 지난해엔 해파리 성체 발생비율이 높은 지역 30곳을 동시 탐색, 부착유생 대량서식지 분포도를 작성했다.

해파리 주요지역 부착유생분포도(왼쪽)과 연차별 부착유생 관리 권역.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해수부는 이 분포도를 기반으로 부착유생 서식지 정보를 지속 추가할 계획이다. 개방형 해역이나 진해만, 득량만, 고성·자란만같은 해파리 대량 발생 주의보 상습 발령해역에선 인근까지 탐색을 확대하기로 했다.

번식력이 강해 초기 단계의 방재작업이 중요한 만큼, 부착유생 제거작업은 단계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분포도를 기반으로 오는 2022년까지 서해안→남해안→동해안 곳곳에서 부착유생 제거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밀집구역 위주의 관리에 치중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주변해역 해파리 유입경로 분석 등을 통해 해역별로 집중관리하기로 했다. 부착유생 제거 시 주변탐색도 병행, 관리 효과도 높일 방침이다. 여기에 부착유생 제거 작업이 벌어진 해역을 지속 감시해 생태계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매뉴얼’도 개발·적용해 모든 관리 과정을 표준화, 사업의 정확성도 높이기로 했다.

안산 시화호 송전탑에 붙은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 전(왼쪽)과 후.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부착유생 탐색·제거 교육대상도 넓혔다. 이 교육은 이제까지 일반 잠수사에 한해 진행됐었지만, 올해부턴 수중촬영 동호회 회원 등 일반 국민도 참여할 수 있다.

해파리 대량발생 현안과 관련, 주변국과 공동 대응하기 위해 ‘한·중 해파리 전문가 워크숍’과 ‘한·중·일 해파리 워크숍’도 매년 개최하기로 했다.

부착유생 제거에 사용될 장비를 개발하는 한편, 2021년까지 해파리가 대량 발생하는 직접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연구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명노현 해수부 해양생태과 과장은 “해파리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은 2006~2008년 해파리가 대량 출현했을 때 당시 산정된 것으로, 지속적인 관리에 따라 이보다는 줄어들었을 것”이라며 “해파리로 인한 피해액을 다시 산정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발표하는 한편,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수산업계의 피해를 줄이고 해양생태계의 건강성이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름달물해파리주의보는 최근 4년간 모두 11건 발령됐다. 연도별로 2014년 1건, 2015년 3건, 2016년 4건, 2017년 3건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