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지표에 따라 '대학줄세우기'…박경미 의원, "지원과 육성 위주 새 재정지원사업지표 마련해야"

[데일리한국 송찬영 교육전문기자] 교원확보율이나 취업률, 학생충원율 등 성과위주의 교육부 대학평가가 지역별 대학간 격차를 늘리고,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채용을 늘리는 등 오히려 대학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04년 이후 12개 재정지원사업에 활용된 정량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25일 박경미 의원실에 따르면, 2004년 이후 재정지원사업에서 활용된 대표적인 정량 평가지표는 총 14가지이다. 교원, 교사, 교육비환원율, 학생 1인당 교육비, 장학금, 등록금, 충원율, 취업률, 교육과정, 연구, 산학, 국제화, 정원조정, 총장선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지표는 모두 결과에 따라 재정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지표로 대학들이 재정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이 기준에 충족하기 위한 성과를 내놓아야만 한다.

12개 재정지원사업을 분석해보면, 가장 많이 활용된 평가지표는 ‘교원’(교원확보율 또는 교원 1인당 학생수)로, 모두 11개 재정지원사업에 포함됐다.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평가지표는 10개 지원사업에 포함된 ‘취업’(학생취업률)과 8개 지원사업에 포함된 ‘충원’(재학생 충원율 또는 신입생 충원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금 지급률, 교원 연구실적, 산학협력도 6개 사업에 공통적으로 포함됐다.

문제는 여러 재정지원사업에서 특정 평가지표가 중복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특정지표에 따라 ‘대학줄세우기’가 될 가능성이 크고, 대학의 자율적 운영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며, 재정지원사업이 내세운 다양한 목표도 무색해질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교원확보율’의 경우 재정지원사업에서 가장 빈번한 지표로 활용되다 보니, 각 대학은 교원확보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2006년 대비 2016년 일반대 전임교원 확보은 66.2%에서 80.3%로 14.1%P 상승했다.

그러나 교원확보율이 상승함과 동시에 비정년트랙 전임교원도 증가하는 부작용이 거의 모든 대학에서 발생하고 있다.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정년트랙보다 재임용(재계약)되는 임용기간이 짧고, 승진 또한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더라도 직급이 제한적이며, 급여 등 근무여건이 차별되는 무기계약직 형태의 교원을 말한다.

자료를 제출한 일반대 46교를 대상으로 2006년 대비 2016년 전체 전임교원 중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대학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비율이 증가했다.

2006년 당시 비정년트랙 교원이 전체 교원의 1/4 이상되는 대학은 전무했으나 2016년에 46교 중 25교(54.3%)가 전체 교원의 1/4 이상을 비정년트랙 교원으로 채웠다.

비정년트랙 교원이 전무했던 19개 대학도 모두 비정년트랙 교원을 채용했다. 전임교원 충원에 나서야 하는 대학들이 교원수를 늘이면서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교적 임기가 짧고 임금이 적은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12개 재정지원사업 중 각각 10개, 8개 사업에서 평가지표로 활용된 취업률과 충원율도 대학의 소재지에 따라 격차가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취업률은 수도권이 52.2%, 비수도권이 50.6%로 수도권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서울지역 취업률이 53%로 가장 높았다.

재학생 충원율도 마찬가지였다. 수도권 재학생 충원율은 119.7%, 비수도권 재학생 충원율은 106.3%로 수도권이 높으며, 여기서도 역시 서울지역 학생 충원율이 122.8%로 가장 높았다.

이는 취업률, 충원율이 대학의 자구노력보다는 기업, 교육, 사회문화시설이 서울에 집중하고, 지방은 공동화현상을 겪고 있는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지표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취업률, 충원율 지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재정지원의 양극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박경미 의원의 설명이다.

박경미 의원은 “대학이 안정적으로 질적 발전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성과위주의 평가지표보다 ‘지원과 육성’을 전제로 한 평가지표를 담은 새로운 재정지원사업의 설계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