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미국 나사 등 국내외 80개 기관 580 과학자 참여 조사

[데일리한국 송찬영 환경전문기자] 국내 일평균 미세먼지 수준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을 초과한 날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금까지 발생 영향으로 지목된 중국 등 국외 요인도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합동으로 수행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설명회를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2일부터 6월 12일까지 국내 대기오염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반도 전역에 대해 항공관측·지상관측·모델링 등을 수행했다. 여기에는 국내외 80개 기관 580여 과학자가 참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PM2.5)의 기여율은 국내 52%, 국외 48%로 나타났다. 국외의 경우 중국내륙 34%, 북한 9%, 기타 6%로 분석됐다.

국내 영향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일평균 미세먼지(PM2.5) 권고기준인 25㎍/㎥을 초과하는 날들이 확인됐다.

조사기간 동안 관측된 미세먼지(PM1) 중 배출원에서 직접 배출된 미세먼지의 양은 4분의 1 미만이었고, 4분의 3 이상은 가스 상 물질에 의한 2차 생성된 미세먼지(PM1)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미세먼지(PM1)는 미세먼지 입자의 직경이 1 마이크로미터(㎛) 보다 작은 미세먼지로서 대부분이 2차 생성되는 성분들로 구성돼 있다.

2차 생성 원인물질로는 유기물질이 가장 많았고, 황산염, 질산염 순이었다.

미세먼지(PM2.5)를 생성하는 전구물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발생 유기물질(OC)·질소산화물·암모니아·블랙카본(BC)이 미세먼지 영향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의 오존 발생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인 톨루엔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도권과 주변지역의 질소산화물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포화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 배출오염물질로 인한 인근 지역의 대기질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남부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해안 석유화학시설 부근은 벤젠 등 특정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상층의 연기에서 높게 관측됐다.

황산화물의 주요 배출원은 발전소와 같은 대형 시설인 것으로 확인됐다.

모델링 결과, 국내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은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보다 더 많이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박진원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화합물질을 감축하면 미세먼지와 오존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서해안 발전소 영향으로 발생한 오존과 미세먼지는 서울 인근 남쪽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특정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이 있어 더 정밀한 항공관측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