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촌지하차도의 도로 침하 문제가 시공사의 과실로 잠정 결론 내려졌다. 사진=JTBC
석촌지하차도 지하철 9호선 공사를 맡은 시공사 3개 가운데 삼성물산 공사 구간에서만 동공이 발생하는 등 도로 함몰 문제가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시공능력이 부족한 시공사가 경험이 없는 방법으로 터널을 뚫다가 지반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22일 서울시 송파구 석촌동 지하도로 전문가 조사단은 지하도로 아래에서 발견된 문제들이 터널을 뚫은 시공사의 과실 대문에 발생했다는 잠정적 결론을 발표했다. 서울시 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박장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지하에서 터널 공사를 진행하던 시공사가 공사 품질 관리에 실패한 것이 동공의 직접적 원인"이라며 "시공사인 삼성물산이 실드 공법을 채택했으나 경험과 시공 능력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길이 490m인 석촌지하차도는 3개의 시공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드 공법으로 터널을 뚫어왔다. 실드 공법은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박힌 원통형 기계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굴을 파고 들어가는 방식이다. 이때 잘게 부숴진 흙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기계로 나온 뒤 지상으로 배출된다. 그러던 중 8월 한달 간 7개의 동공이 발견됐고 문제가 발생한 곳은 삼성물산 공사 구간이 유일했다.

서울시 조사단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석촌지하차도 밑에서 공사를 진행할 때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상 매뉴얼을 만들었지만 공사 관리에 실패했다. 시공사는 공사를 하면서 초반에 계획한 양보다 많은 흙을 지상으로 배출했다. 조사단은 시공사가 예상 배출량보다 더 많은 흙이 실드 기계 안으로 들어왔는데도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무리한 진행을 하다가 동공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기계 부품 교체 시 지하수 침투와 지반 침하를 막기 위해 특수 용액으로 터널 표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그라우팅' 작업에서 시공사 측의 결함이 있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

조사단은 "압력이 약한 천장 부분에서 흙이 쏟아져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다"며 "지하철 9호선 3단계 공사는 일괄 발주(건설업체가 공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책임지고 다 마친 후 발주자에게 넘기는 방식) 방식으로 진행돼 모든 문제를 시공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공사측에서 연약지반공사에 대한 위험성을 서울시에 수 차례 알렸는데도 특별한 조치가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서울시가 시공사에게 책임을 전적으로 떠넘긴다는 논란 또한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의 최종 결론은 다음주 초 발표된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