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 세미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혁신과제와 미래비전'에 참석, 강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꺼내든 신당창당론이 정치권의 뭇매를 맞고 있다. 명분도, 원칙도 없는 통합 논의라는 비판이다. 특히 내년 서울·부산시장 재보궐선거와 2022년 대통령선거를 앞둔 상황 속 또다시 ‘헤쳐 모여 식‘ 신당 창당을 통해 정치 지형의 쇄신과 변화를 꾀하는 전략이 되레 전열을 흩트려놓고 경쟁력만 떨어트릴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안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주 야권 전체의 혁신 플랫폼을 제안한 것도 더는 이대로는 야권의 장래도, 대한민국의 장래도 없다는 고심 끝에 내린 결론 때문이었다"며 "단순히 반문(문재인)연대, 반민주당 연대가 아니라 대한민국 변화와 혁신의 비전을 생산하고 실천할 수 있는 개혁연대, 미래연대, 국민연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쓰러져가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보편성을 회복하고, 이념과 진영의 굴레에서 벗어나 이성과 합리, 상식이 통하는 실용적 개혁정치의 길을 야권이 선제적으로 만들고 앞장서야 한다”며 “그럴 때 정권교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신당 창당과 관련해 “현재 상황이 야권의 위기인 만큼 저는 화두를 던진 것”이라면서 “야권 전체의 공동 노력 없이는 문재인 정권의 견제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는 절박감 때문에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가 생각한 최선의 방법은 혁신 플랫폼을 만든다는 것이다. 스펙트럼이 다양할 수 있다”며 “스펙트럼에 여러 가지 해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런 논의를 시작해야 할 절박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제 고민과 충정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신당 창당은 세력 간의 협력과 견제, 합종연횡 등의 변수가 많아지는 탓에 대부분은 실패한 실험으로 끝났다. 하지만 신당 창당이 정치 지형의 대변화를 이끈 적도 있다. 1985년 김대중, 김영삼 전 대통령이 주도해 만든 신한민주당(신민당)이 창당 20여일 만에 치러진 총선에서 67석을 확보하며 제1야당에 올랐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1995년 창당한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은 그해 지방선거와 이듬해 치러진 15대 총선에서 바람을 일으키며 ‘캐스팅보트’로서 영향력을 발휘했다. 10여년 동안 제3당의 지위를 누리며 1997년에는 DJP(김대중·김종필)연합으로 대권 도우미 역할까지 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안 대표의 국민의당은 호남을 기반으로 38석을 얻으며 선거판을 흔들기도 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과거에도 이런 이야기가 있었던 만큼, 현실성은 있다. 문제는 안 대표가 결과만 이야기했다”면서 “통합은 정책 공조 이후 선거 공조, 합당으로 이어지는 데 안 대표는 앞의 두 과정을 생략해 버렸기 때문에 일이 꼬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구태의연한 속물 정치의 전형”이라면서 “자신(안 대표)을 중심으로 야권을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3석을 가지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안 대표의 불안한 심정을 반영한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에 치러진 총선에서 103석을 확보한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야권 재편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