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모교(母交)인 경희대 출신 인사들의 이례적인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행정학과 83학번)는 관행을 깨고 35년 만에 정보위원회를 제외한 17개 상임위를 독식했다. 또 ‘검언유착 의혹 사건’으로 윤석열 검찰총장과 마찰을 빚고 있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법학과 91학번)은 정기적으로 이뤄지는 대면보고를 서면으로 대체했다.

3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김 원내대표가 미래통합당의 집요한 요구에도 불구, ‘야당 몫’이라는 관행을 깨고 법률안 등 안건이 본회의로 가는 길목인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꿰찼다. 집권여당으로서 ‘책임국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지난달 29일 본회의에서는 통합당과 정의당, 국민의당이 불참한 가운데 상임위원장 선출을 마무리했다. 다수당 원내대표가 맡는 관행에 따라 자신은 운영위원장 자리에 올랐다.

1985년 구성된 12대 국회 이후 35년 만에 과반수 여당의 상임위원장 독점 체제가 열리면서 김 원내대표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추경안 규모는 35조3000억원 규모로, 여당 단독으로 진행된 ‘셀프 심사’에서 원안보다 3조1031억원이 증액됐다.

김 원내대표는 17개 상임위원장이 선출된 뒤 상임위 예비심사부터 시작해 예산조정소위 심사에 이르기까지 나흘 만에 ‘속전속결’로 처리, 6월 임시국회 회기 마지막 날인 3일까지 이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예산안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야당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일각에서는 ‘졸속심사’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김 원내대표는 충분한 당정협의를 거쳤다며 논란을 잠재우고 있다.

이 지검장의 행보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 지검장은 지난 1일 열릴 예정이었던 윤 총장과의 주례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서면으로 대체했다. 이 회의는 매우 수요일 오후 검찰총장 집무실에서 진행됐다. 주요 일정 등 상황에 따라 대면 회의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서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지검장은 그동안 이 회의에 대부분 참석해 윤 총장에게 중앙지검의 중요 수사 상황을 보고했다.

앞서 윤 총장은 지난달 19일 ‘전문수사자문단’을 통해 채널A 기자와 한동훈 검사장이 여권 인사 비리를 캐내려 유착했다는 검언유착 의혹 수사 검증을 받도록 했다. 하지만 수사를 담당한 서울중앙지검은 지난달 30일 대검찰청에 전문수사자문단 관련 절차 중단을 건의했다. 또 수사팀은 ‘특임검사’에 준하는 직무 독립성을 부여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 지검장이 사실상 윤 총장의 지휘를 받지 않겠다는 ‘반기’를 든 셈이다.

또한 서울중앙지검은 이보다 앞선 지난달 25일 이 지검장 주재한 확대부장회의의 주요 내용을 수록한 보도자료를 배포하기도 했다. 검찰총장이 아닌 지검장의 행보가 소개된 것은 이례적으로, 법조계 일각에서는 이 지검장이 차기 검찰총장에 오르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경희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참여정부 시기인 2004년 17대 국회에 입성했다. 그는 ‘친문’(친문재인) 이해찬계의 지지를 받는 당권파다. 정책위의장도 지내 두루 정책에 밝다는 평가도 받는다.

이 지검장도 검찰 내 대표적인 친문인사다. 그는 문 대통령의 경희대 법대 후배로,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청와대 특별감찰반장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뒤에는 검찰 내 핵심 요직인 법무부 검찰국장과 서울중앙지검장에 올랐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