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자도 80대 이상 60%

사진= 통일부 제공
[데일리한국 이정현 기자] 이산가족상봉을 신청한 생존자들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부터는 신청자 중 생존자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아지는 역전현상이 나타났음에도 경색된 남북관계로 상봉 실현은 더욱 요원해진 상황이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8월 31일 현재 이산가족상봉을 신청한 우리국민은 1988년 집계를 시작한 후 13만 892명에 달했다. 이 중 생존자는 6만 3152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청자 중 사망자는 6만 7740명으로, 한 달 전에 비해 18명의 신청자가 추가됐음에도 생존자가 사망자보다 더 적다.

특히 올해 2월부터는 이산가족상봉 신청자를 집계한 1988년 이래 사망한 사람들의 수가 생존자보다 더 많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생존자의 연령대도 8월 기준으로 50대 이하는 전체의 6.8%에 불과하며 △60대 9.0% △70대 24.2% △80대 43.7% △90대 이상이 16.3%에 달한다.

생존자의 절반이 넘는 60.0%가 80대 이상인 상황이다. 그동안 상봉을 신청하고 사망한 사람들의 통계를 보면 사망시 연령대는 80대가 45.6%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70대가 26.8%, 90대가 19.9%였다.

상봉을 기다리는 이산가족의 평균 연령은 빠르게 높아져 가지만, 이들의 상봉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2000년 이후 정례화 된 남북이산가족상봉은 천안함 피격사건과 박왕자 여사 피살사건 등이 잇따라 터지며 2008년부터는 사실상 비정례화 되는 모양새다.

2008년 이후 올해까지 9년여 동안 남북이산가족상봉이 실현된 해는 2009년·2010년·2014년과 작년까지 네 번에 그쳤다. 또한 이 시기는 상봉 인원도 1년에 1000명을 넘기지 못했다. 여기에 북한이 국제사회의 만류를 무시하고 핵실험을 강행하는 탓에 현재 남북관계도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날 통일부 관계자는 올 해 상봉계획을 묻는 질문에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대화라는 계기가 있어야 진행될 수 있다”며 “지금 같은 남북관계에서는 상봉계획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한 “현재 이산가족 관련 업무는 실태조사와 유전자검사 두 개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