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KBS 여론조사…사드 찬성 67.1%, 반대 26.2%

개성공단 중단에 "잘한 일" 54.4%, "가동해야" 41.2%

대선주자 선호도 반기문 1위…박 대통령 지지도 46.0%

[데일리한국 이선아 기자]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맞선 사드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 배치 논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등 우리 정부의 조치에 국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와 KBS가 여론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14일 집계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조치에 대해선 "잘한 일"이라는 응답이 54.4%로, "현재처럼 가동해야 한다"는 답변(41.2%) 보다 13.2% 포인트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개성공단 중단 찬성 의견이 반대 응답보다 많았다. 특히 20대 이하와 30대도 "잘한 일'"라는 응답이 각각 51.9%, 52.3%를 기록해 40대(40.1%)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7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데 맞서 10일 정부가 개성공단 전면 중단 결정을 내린 직후인 11∼12일 이틀 동안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천13명을 상대로 임의전화번호걸기(RDD)에 의한 가구전화와 이동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의 신뢰 수준은 95%, 오차범위는 ±3.1% 포인트, 응답률은 10.1%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67.1%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드를 배치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반면 "중국 등의 강경 입장을 고려해 배치하지 말아야 한다"는 답변은 26.2%에 그쳤다.

특히 사드 배치 찬성 여론은 연령대별·권역별 지역 조사에서도 모두 50% 이상을 기록해 반대 의견보다 높았다.

이와함께 북한의 잇단 도발 위협으로 국내 일각에서 핵무장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핵무기 독자 개발 또는 미군 전술핵의 남한 재배치에 대한 지지 여론(52.5%)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41.1%)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만, 향후 대북관계 해법을 놓고선 '제재' 위주 강경론과 '대화' 우선의 온건론이 팽팽히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북 경제 제재 강화(30.9%)와 핵시설 제거를 위한 군사적 수단 검토(18.0%) 등 대북 강경론은 48.9%로 집계됐고, 남북한 대화를 통한 해결(40.1%)과 북한의 핵보유 인정(7.7%) 등 온건론도 47.8%를 차지했다.

주요 정치 현안에서 국회 선진화법 개정에 찬성하는 의견이 56.1%로, 반대하는 의견 28.0% 보다 두 배 정도 높았다. 또 노동개혁법, 서비스산업발전법, 테러방지법 등 쟁점 법안 처리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56.1%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35.4%)에 비해 20.7% 포인트 높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46.0%로, 지난해 12월 말 조사(44.1%)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1.9% 포인트 상승했다.

4.13 국회의원 총선 지역구 선거와 관련한 정당 지지도는 새누리당이 40.9%로 가장 높았고, 더불어민주당 23.1%, 국민의당 10.6%, 정의당 3.0% 순이었다.

아울러 거주 지역의 현역 의원이 재출마했을 때 "다른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59.8%로, "현역 의원에게 투표할 것"이라는 답변(24.5%)보다 훨씬 높아 '현역 의원 물갈이' 여론이 60%에 육박했다.

총선 쟁점 사항으로는 경제 활성화(41.0%)가 가장 많이 꼽혔고, 그 다음은 일자리 창출(18.6%)이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정치권에서 북풍(北風) 논란이 일고 있지만, 안보 위협 및 대북 정책을 쟁점 사항이라는 응답은 13.5%에 그쳤다.

공천 방식에 대해선 '새 인물을 수혈하는 인재 영입 공천'(26.9%)보다 '국민에게 선택권을 주는 상향식 공천'(59.9%)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대통령후보 선호도에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8.3%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17.9%), 박원순 서울시장(10.5%),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8.6%), 오세훈 전 서울시장(7.9%),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7.8%)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