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과반 못거두면 패배, 文 100석 못넘기면 상처, 安 20석도 안되면 심각한 상황

[데일리한국 조옥희 기자] 4·13 국회의원 총선거는 차기 대선 구도를 가르는 결정적 계기가 될 전망이다. 선거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각 당의 향배는 물론 정치권 전체로도 차기 대권의 윤곽이 그려지게 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중 어느 당이라도 압도적인 승리를 굳힐 경우 그 당과 전 현직 당 대표는 차기 대권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된다. 반면 총선 성적표가 마뜩잖을 경우 대권에서 멀어져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와중에 각 당의 총선 성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됐다. 새누리당과 더민주, 국민의당은 현재 의석수를 유지하거나 그 이상이 돼야 승리라고 볼 수 있다. 당연히 그 이하면 패배로 귀결된다. 국민의당은 일단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20석 이상을 확보해야 당의 지속가능성이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각 당의 간판으로서 당과 운명을 같이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더민주의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의 긴장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먼저 새누리당의 총선 패배 지표는 과반(150석) 의석 달성 여부다. 엄밀히 따지면 현재 의석수인 157석이 마지노선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야권 분열이라는 호재가 주어졌기에 157석을 넘지 못할 경우 당 안팎에서는 책임론이 커질 수 있다. 당연히 지휘봉을 든 김무성 대표가 곤란해질 수 있다. 하지만 김 대표 입장에서는 새누리당이 공천 과정에서 친박계와 비박계간 신경전이 첨예한 것이 원인이 됐다고 피해갈 수도 있다.

또 이 과정에서 국민들에겐 박근혜 대통령과 각을 세우는 모습을 연출하며 오히려 대선 주자 이미지를 더욱 부각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총선 패배는 곧 김 대표의 입지에 적잖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게 자명하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야권 분열의 호재 속에 180석 이상을 얻으면 압승으로 평가 받을 수 있다. 김 대표 입지는 더욱 굳건해지며 대권 가도에 더욱 순풍이 불게된다. 만일 새누리당이 단독 개헌이 가능한 200석 이상을 얻는다면 말그대로 김 대표는 탄탄대로를 걷게 된다.

더민주의 총선 성패 기준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겸 선거대책위원장이 제시했다. 김 위원장에 따르면 현재 의석(109석) 이상, 그리고 탈당 전 의석(127석)이 돼야 승리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00석 이하면 패배라는 인식이다. 더민주가 개헌 저지선에도 못 미치는 의석을 얻는다면 문 전 대표는 총선 패배 책임론은 물론 대선주자 경쟁에서 탈락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문 전 대표 역시 김 대표와 마찬가지로 책임을 덜 방법이 있다. 일단 문 전 대표가 총선을 진두지휘한 위치가 아니였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에게 책임을 일정 전가할 수 있어서다. 그렇다 하더라도 100석 이하가 될 경우 문 전 대표의 이미지에는 결정적 흠집이 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따라서 문 전 대표는 120석을 넘겨야 승리 축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의 대표직 퇴진으로 당을 위기에서 구해낸 공을 인정받을 수 있다. 야권 경쟁자들을 제치고 야권 후보 중 원톱의 위치에 오르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국민의당은 일단 교섭단체 요건인 20석을 달성하지 못하면 당의 존폐조차 장담할 수 없다. 20석 이하면 안 공동대표는 야권분열의 책임을 오롯이 떠안는 것은 물론 정계은퇴 주문에 시달릴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의석수를 떠나 호남지역에만 고립된다면 이도 역시 안 대표에겐 부담이다. 나아가 수도권에서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만 안길 경우 야권분열에 대한 책임론이 적잖이 제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최소한 20석은 넘겨야 한다. 나아가 30석을 넘어 40석까지 확보한다면 안 대표는 대선 정국에서 캐스팅보트를 쥐며 존재감을 과시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제3당의 위치도 굳건히 하면서 차기 대선에서도 야권의 한 축을 담당하는 후보로 나설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