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과 친박계는 사퇴할 때까지 밀고갈 생각

비박계의 반격이 어디까지 갈까… 전망 엇갈려

[데일리한국 김종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유승민(사진) 원내대표의 사퇴를 압박하고 친박계가 노골적으로 결단을 요구하는 가운데 새누리당 비박진영에서는 유 원내대표를 엄호하고 나섰다. 친박계는 '나가라 '고 공격하고 비박계는 '누구보고 나가라는 것이냐'라고 극한의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단순히 당내 의원들의 숫자를 보면 친박이 비박에 비해 적다. 만일 의원총회에서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 문제를 표결에라도 부칠 경우 비박이 이길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비박은 느슨하고 친박은 하나로 뭉쳐 있다. 여기에 박 대통령의 서슬 퍼런 엄명도 떨어진 상태다. 비박이 똘똘 뭉쳐 유 원내대표를 보호하기엔 쉽지 않을 거란 이야기다. 실제 비박으로 분류되는 김태호 이인제 최고위원도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 아무래도 박 대통령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가 '유승민 흔들기'를 노골화하자 비박 의원들도 29일 집단행동에 들어갔다. 비박계 재선 의원 20명이 이날 국회에서 김용태 의원의 주선으로 긴급회동을 갖고 유 원내대표의 입지가 더 흔들리도록 좌시해서는 안 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이다. 이들은 회동 직후 성명을 통해 "원내대표는 당헌에 따라 의총을 통해 선출됐고, 최근 당·청 갈등 해소에 대한 약속도 있었다"며 "이런 민주적 절차를 통해 결정된 것을 의원들의 총의를 묻지 않은 채 최고위원회가 일방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유 원내대표 사퇴를 요구하는 친박계를 겨냥, "의총 결과를 무색하게 하면서 원내대표 사퇴를 주장해 당내 분란이 확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여기에다 비박계 3선 중진인 정두언 의원은 "여당 의원이 뽑은 원내대표를 청와대가 사퇴하라는 것은 과거 군사독재 정부 시절 때의 얘기 같다"면서 "우리 손으로 뽑은 우리 원내대표를 쫓아내는 것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반박했다.

다른 비박계 중진들도 이날 직·간접 접촉을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친박계 최고위원들의 공세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비박계 중진은 "지금은 참고 있는데 너무 심하게 나간다는 생각이 들면, 유 원내대표를 직접 흔드는 최고위원들을 겨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친박의 공세에 비박진영이 반격의 칼을 꺼내 든 셈이다. 친박이 선공에 나선데 대해 방어에 나서며 다시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 게 지금 비박의 모습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비박이 단일대오를 유지할지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과거처럼 대통령이 공천권을 행사하는 총재를 겸하는 건 아니지만 여전히 살아있는 최고 권력이다. 더구나 대구 경북 지역에서는 아직도 박 대통령을 능가하는 영향력을 보유한 인사는 없다. 또 전형적인 보수층에서도 박 대통령의 탄탄한 지지율이 유지되고 있다.

마땅한 구심점이 없는 비박이 힘을 합해 박 대통령에게 대항할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위험 부담도 크다. 박 대통령은 다른 정치인과 상이한 정치이력을 갖고 있다. '배신'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경계심이 크다. 때문에 박 대통령이 주변에서 반대를 한다 해도 이번 사안에 쉽게 물러날 것 같지는 않다. 비박진영에서 일단 박 대통령의 뜻에 반기를 들었지만 과연 끝까지 이같은 주장을 밀어붙일까 하는 부분에 선뜻 확답하기 어려운 이유다.

결국 유 원내대표가 기댈 곳은 여론밖에 없다. CBS노컷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7~28일 이틀간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친박계의 유 원내대표 사퇴 주장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8.5%로 집계됐고 '공감한다'는 대답은 32.9%에 그쳤다. 아직 여론은 '박 대통령이 너무 심한 것 아니냐'는 쪽에 쏠려 있다.

하지만 정치는 현실이다. 이같은 여론 조사 결과가 계속 이어진다는 보장이 없다. 오히려 사태가 길어지면 질수록 대통령에 항명하는 여당 의원의 모습으로 각인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현재 유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할 명분을 찾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 경우 7월 초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개정안 문제를 매듭짓고 자진 사퇴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어떤 결말이든 여권 내 정치와 소통이 실종돼 있다는 것을 국민 앞에 드러낸 게 된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