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각각 전패할 경우엔 두 대표 입장 정반대 상황 직면
여야 무승부땐 두 대표 체제는 유지… 내부 힘겨루기 양상
여야 승패 엇갈리면 김 대표보단 문 대표에 타격 더 클 듯

4·29 재·보궐 선거 결과는 김무성(왼쪽)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의 정치적 진로 및 위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데일리한국 조옥희 기자] 4·29 재·보궐 선거 결과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정치적 진로 및 위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선거 지역이 서울 관악을과 인천 서·강화을, 경기 성남 중원, 광주 서구을 등 4곳에 불과하지만 그 결과가 미칠 파장은 간단치 않다. 특히 여야 두 대표는 사실상 이번 선거가 자신이 주도해서 치르는 첫 데뷔무대다. 여야의 유력 대권주자로 꼽히는 두 당 대표가 맞붙는 첫 선거인데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선거 전면에 등장하면서 승패에 따라 엄청난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두 대표는 이번 선거에서 최소한 반타작은 해야 그나마 체면치레를 하며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자칫 이번 선거 결과가 여야 어느 한 쪽으로 확 쏠려 전패라도 할 경우 두 대표 중 한 명은 치명적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여기에다 김 대표의 경우 텃밭이면서 이전 새누리당 의석이었던 인천 서·강화을을 반드시 사수해야 할 입장이고, 문 대표의 경우 야권의 성지 격인 광주 서구을을 사수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에 이번 선거의 승패에 따라 달라질 양당 대표의 앞날을 전망해 본다.

새누리당 '전패' vs 새정치연합 '4승'

새누리당이 초반 야권 분열로 압승이 예상됐던 판세에도 불구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전패하면 김 대표의 리더십은 급격히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유승민 원내대표를 비롯한 비박계나 당내 소장파 의원들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며 개혁 요구가 여권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김 대표의 목소리도 일정 부분 제동이 걸리는한편 친박 핵심들도 성완종 리스트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동반 책임을 져야할 상황이 된다.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3년차 국정 운영 동력도 덩달아 약화할 게 자명하다.

반면 새정치연합 문 대표의 앞날은 탄탄대로가 펼쳐진다. 집권 3년 차인 박근혜 정부의 레임덕을 가속화하는 것은 물론 차기 대선주자 1위를 달리는 문 대표의 대세론도 더욱 견고해진다.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는 당내 계파 분란도 다스릴 명분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여당이 전패를 하면서도 서울 관악을이나 광주 서구을에서 새정치연합이 아닌 무소속 야권 후보들이 이기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경우 문 대표는 여당은 꺾었지만 야권 분열이란 또다른 파고를 맞을 수 있다. 당장 야권발 정치지형의 전면적인 재편 문제가 거론되고 이를 둘러싼 당내 계파 갈등이나 외부의 개혁 요구도 표면화할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 '4승' vs 새정치연합 '전패'

새누리당이 이번 선거 지역 모두에서 이기면 김 대표의 앞날엔 거침이 없게 된다. 여권 내 가장 강력한 대선주자로서 우뚝 서는 것은 말 할 것도 없고, 향후 정국 주도권도 완벽하게 거머쥘 수 있다. 박근혜 정부가 사활을 건 4대 부문 개혁 동력도 탄력을 받고 그 과정에서 김 대표의 위상 역시 더욱 탄탄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바람앞에 등불 같은 신세로 전락한다. 문 대표 입장에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당장 비노 세력을 중심으로 ‘이번 선거가 성완종 리스트로 인해 이완구 국무총리의 사퇴까지 낳는 등 야권에 더할 나위 없는 유리한 구도로 진행됐음에도 패배한 데는 문 대표와 지도부의 전략이 잘못된 탓’이라는 문제 의식 표출이 봇물을 이룰 게 분명하다. 비노 측은 나아가 ‘친노 한계·무능력’ 등을 지적하며 계파 갈등을 전면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노-비노 대립이 격화하면서 야권 분열이 현실화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난 전당대회 때부터 여의도에서 흘러나오던 호남신당론도 힘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문 대표의 대선주자 위상도 크게 흔들리게 된다.

새누리당 '2승' vs 새정치연합 '2승'

여야가 사이 좋게 2승을 나눠가지면 두 대표의 당내 입지 변화에는 별 영향이 없게 된다. 당분간 새누리당 내 친박 세력과 새정치연합 내 비노 세력 등 양당 비주류 측의 목소리는 잦아들게 되고 두 대표 체제가 공고히 내년 총선까지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이 잃었던 한 석에다 또다른 한 석이 추가된다는 점에서 나쁠 것이 없고, 문 대표는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정배-정동영 전 의원을 눌렀다는 점에서 안도할 수 있다.

새누리당 vs 새정치연합 승패 엇갈릴 경우

문제는 여야의 승패가 엇갈리고 무소속 후보가 한, 두 곳에서 이길 경우다. 우선 여당이 경기 성남 중원에서 승리하고 야당이 인천 서·강화을을, 무소속이 서울 관악을과 광주 서구을 지역에서 승리해 여:야:무소속이 1:1:2 승패를 기록하면 김 대표보다는 문 대표가 크게 타격을 입는다. 김 대표는 여권 텃밭을 내줬지만 재보선으로 본래의 의석 수를 잃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전’ 주장을 할 수 있는 반면 문 대표는 여권 텃밭을 빼앗았음에도 불구하고 야권 심장부를 내리 내줘 야권발 정개개편의 계기를 야기했다는 책임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경기 성남중원과 인천 서·강화을에서 2석을 확보하고 새정치연합이 서울 관악을을, 무소속이 광주 서구을을 챙길 경우도 상황은 간단치 않다. 김 대표는 2승을 거둬 재보선 승리를 주장할 수 있지만 문 대표는 여당에도 지고 광주도 챙기지 못했다는 점에서 당안팎의 원망을 살 가능성이 있다. 특히 광주에서의 패배는 새정치연합에 대한 호남 민심의 경고로 해석돼 친노 세력의 위기를 부르는 것과 동시에 문 대표 리더십에도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당장 문 대표는 차기 총선에서 비주류에 지분을 내주고, 당 내에서 김한길·박지원·안철수 의원 등의 입지가 커지는 상황을 지켜봐야할 지 모른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