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보수단체의 25일 대북전단 살포 시도가 파주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의 저지로 일단 무산되면서 남북이 충돌하는 최악의 사태는 면했다. 지난 4일 황병서 총정치국장을 비롯한 고위급의 전격 방남으로 2차 고위급 접촉이 합의되는 등 남북관계가 그동안의 경색 국면에서 벗어나 대화 분위기로 전환될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에서 이날 대북전단 살포 여부는 앞으로의 정국을 좌우할 고비로 평가됐다.

북한은 최근 우리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조준 사격'을 거론하는 등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2차 고위급 접촉이 성사되려면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직접 막아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실제로 지난 10일에는 일부 단체가 날린 대북전단 풍선을 겨냥해 북한군이 쏜 고사총탄이 우리 민간 지역으로 넘어오면서 우리 군도 대응 사격을 하는 등 양측이 충돌하는 양상으로까지 치달았다.

전단 살포를 시도하던 이날에도 북한은 노동신문 등을 통해 거세게 남측을 비난했다. 노동신문은 대북전단 살포를 '하나의 전쟁행위'로 규정하고 "남조선 당국이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삐라 살포 난동을 또다시 허용한다면 북남관계는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우리 군은 25일과 26일 아침부터 동·서·중부 전선에 걸쳐 군사분계선(MDL) 인근 북한군 최전방 부대의 움직임을 감시했다. 비무장지대(DMZ)내 우리 측 소초인 GP와 철책 인근에 설치된 GOP(일반전초) 등의 최전방 경계부대에서는 대북전단 살포로 인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군은 그러나 25일 이 지역 풍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고 있어 민간단체가 대북전단을 담은 대형 풍선을 날리더라도 북측으로 날아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북한군 고사총 부대의 움직임은 있었으나 실제 총격 등은 없었다. 결과적으로 이날 대북전단 살포 시도가 일단 미수에 그치면서 우려됐던 양측의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경기 김포 야산 지역에서 날려진 대북 전단은 휴전선과의 거리도 있고 바람도 북풍이 불고 있던 점으로 미뤄 북측에 떨어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