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1일 문희상 위원장과 당연직 멤버인 박영선 원내대표를 포함해 문재인 정세균 박지원 인재근 의원으로 구성된 6인체제 비대위원을 발표했다. 이들은 모두 당내 주요 계파인 친노계, 정세균계, 호남·구민주계, 민평련을 각각 대표한다.

2010년 10월 전당대회에서 손학규 정동영 정세균 등 대선주자급 중진들이 한꺼번에 지도부에 진입한 적이 있지만, 임시지도부인 비대위에 계파 보스가 이번처럼 대거 참여한 전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7·30 재·보선 참패 이후 난파 위기에 몰린 당 상황을 정면 돌파하기 위해 ‘대주주’들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문 위원장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다. 문 위원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당의 주주 또는 지분을 가진 사람들이 직접 나서 당을 살려놔야지, 배가 침몰한 다음에 나오면 대통령 후보가 된들 무슨 소용이냐”라고 밝힌 바 있다.

주요 계파 수장들이 참여했지만 오히려 계파별 나눠먹기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내년 전당대회에 출마할 후보들이 직접 룰을 정하고, 조강특위 구성을 통해 계파별로 지역위원장을 배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엔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참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당내 중도 성향 비주류를 대변할 비대위원이 한 명도 없다는 점도 지적된다. 또 지금은 정치권을 멀리하고 있지만 언제든지 돌아올 수 있는 손학규 전 고문 계열도 참여하지 않았다.

중도파인 조경태 의원은 “계파 나눠먹기밖에 안 된다”면서 “혁신의 대상이 비대위원으로 참여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지도부에 인선 철회를 강력 요구했다. 다른 의원도 “선수가 심판으로 들어가면 당권투쟁만 가열될 것”이라며 “(안철수 세력과의) 통합신당 창당의 정신도 사라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중도파 불만이 표면화하고, 비대위 운영 과정에서 계파 간 이해가 부딪힐 경우 잠시 수면 아래로 내려간 당내 분열 양상이 재연될 수 있다. 문 위원장은 대선 패배 이후인 지난해 초 비대위를 이끌던 당시 “조직역량을 분산시키는 계파주의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지만 결국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