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조옥희 기자] 차기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앞둔 새정치민주연합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새정치연합 원로·중진 인사들로 구성된 비대위원장 추천단은 18일 오후 예정된 첫 회의에서 후보군을 추천하고 의견을 모아 만장일치 추대형식으로 비대위원장을 선출할 계획이다. 그러나 각 계파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추천 작업이 제대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벌써부터 당 내부에서는 각 계파들이 비대위원장 자리에 자신의 진영 이익에 부합하는 인물을 앉히기 위해 물밑작업이 한창이다.

한 야권 관계자는 이날 “현재 당 내부에서는 계파색이 엷은 인사를 선출해야한다는 주장과 계파에 상관없이 중진이나 원로급 인사를 뽑아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면서 “이젠 부딪히는 일만 남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새 비대위원장 후보를 놓고는 여러 말들이 들려오고 있다. 추천단의 일원인 의원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박지원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계파 갈등을 언급했다. 박 의원은 “정치라는게 아무래도 설왕설래가 있고, 솔직히 우리 당에 여러 파벌이 있는 걸 부인할 수 없다”면서 “그러나 명색이 (추천단이) 당의 원로들이자 주요 당직을 지낸 사람들이라 그런 것은 이미 초월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약 거기에서마저 투표행위든 문제가 생긴다면 우리 새정치연합은 희망이 없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자신이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거론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비대위원장을 2번이나 한 사람이고, 박영선 원내대표와 ‘박남매’라는 소리를 들으며 가깝게 지내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의원이 비대위원장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박 의원은 “이상돈 파동에서 문제가 불거져 적절하지 않고, 본인도 고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미애 의원은 계파의 이해관계를 과감하게 쳐낼 수 있는 사람을 새 비대위원장에 맡겨야한다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당은 계파에 소속감을 느껴 당이 위기에 있어도 어떤 대책도 서로 내지 않는, 그래서 당이 방향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 오래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추 의원은 자신도 후보군 물망에 있다는 질문에 “정치란 것이 어느 자리에 가고 싶다고 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라 ‘소명’으로 생각한다”고 말해 거부 입장을 밝히진 않았다.

정동영 전 상임고문도 PBC 라디오에 출연해 “누구 사람이다 또는 계파 색채가 강한 사람은 스스로 자리를 고사해야 한다”면서 “어느 계파에서 누구를 민다더라 이런 얘기들을 믿고 싶지 않지만 그런 사람이 되면 다시 또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이어 “당을 어느 계파가 장악했다든지 승리했다든지 그렇게 되면 정파, 기껏해야 계파로 보이지 않겠느냐”라고 덧붙여 계파 인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반면 강기정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차기 전당대회에 나가려고 준비하는 의원들이 비대위원장이 되어야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강 의원은 그러면서 문재인, 정세균, 박지원 의원의 이름을 거론했다. 강 의원은 “지금은 비대위원장이 전당대회 룰을 만들고, 그렇기 때문에 본인은 차기 전당대회에 나갈 수 없다는 암묵적인 규칙이 형성되어 있다”면서 “이 룰을 넘어서지 않으면 (비대위원장을) 자꾸 밀려서 하거나 억지로 하는 상황이 반복된다”라고 지적했다.

현재 새정치연합 비대위원장 후보로는 원내에서는 문희상, 유인태, 이석현, 박병석, 원혜영, 의원이 거론되고 원외 인사로 김부겸 전 의원이 물망에 올라있다. 문 의원은 친노계가, 이 전 국회부의장은 김한길계가, 박 전 국회부의장은 정세균계가 지지하고 있다. 이날 오전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 중 문 의원이 가장 유력하다. 친노계를 비롯해 동교동계 원로 인사 상당수가 문 의원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 전 부의장도 고심 끝에 비대위원장 고사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져 ‘문희상 대세론’에 힘이 실린다.

그러나 비대위원장이 지역위원장을 인선하고 당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꾸리는 역할을 하는 만큼 차기 전당대회를 출마하는 당권주자들에게는 엄청나게 중요한 자리다. 비대위원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차기 총선과 대선을 노리는 각 계파들의 희비가 갈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이날 회의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의견이 어느 쪽으로 모아지질 섣불리 예측하기 어렵다. 야권 물밑에서 신경전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