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선 결과가 여야 각 정당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다. 전국적으로 15곳이나 되는 미니총선 급 규모인 것은 물론, 사실상 무승부로 끝난 6·4 지방선거의 연장전이자 집권 2년차인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의미까지 더해져 있다. 새누리당은 박근혜정부 2년차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집권 여당의 독주를 막는다는 목표 아래 최후의 한순간까지 표를 얻기 위해 뛰고 있다.

여야가 사활을 거는 이유는 무엇보다 이번 재보선 이후 전국적 규모의 선거가 다음 총선까지 2년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2년간 정국을 주도할 수 있는 힘을 담보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반대로 선거 결과가 좋지 않은 쪽은 가까운 시일 안에 만회할 기회를 갖기 힘들다는 점에서 당 지도부가 곤혹스런 입장에 처할 수밖에 없다.

15개 선거구 중 새누리당이 10대5나 9대6의 승리를 얻었을 때 여야의 희비는 극명하게 갈린다. 박근혜 정부는 세월호 참사와 고위공직자 인사실패의 악조건을 딛고 집권 2년차의 동력을 확실히 다지는 계기를 잡게 된다. 새누리당 김무성 신임 대표체제도 더욱 공고화하면 정부와 적절한 선을 유지하며 협조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6년 총선까지 별다른 정치적 이벤트가 없다는 점에서 ‘박근혜-김무성’ 투톱체제가 2년간 순항한다는 의미다. 새정치연합으로선 최악의 결과다. 당장 전략공천을 주도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체제가 흔들리면서 친노 진영 등의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잇따를 수 있다. 야권연대의 실패 부분도 지도부의 책임으로 제기될 수 있고 야권발 정계개편 움직임도 예상된다. 혼돈의 연속이다.

반대로 새정치연합이 9대6 이상 이겼을 경우다. 새정치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안정적으로 당을 주도할 수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비주류 친노 진영의 목소리는 잦아들게 된다. 여권은 자중지란에 빠질 수도 있다. 김무성 대표는 공천을 주도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정부와 청와대 쪽으로 책임을 돌릴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청와대와 여당의 간극이 커질 수 있다. 박근혜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사실상의 레임덕 현상이 올 수도 있고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 간 갈등도 본격화할 수 있다.

여야가 누가 이긴던 8대7로 귀결되면 애매하다.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 체제가 별탈 없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새정치연합의 경우 다소 잡음은 나올 수 있지만 큰 무리 없이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체제가 당을 이끌 수 있게 된다. 박근혜 정부도 야당의 견제 속에 집권 2년차 국정운영의 가속 페달을 밟아나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