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생식기관으로 정액을 구성하는 액체 성분의 일부를 만들어 분비하는데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러한 전립선의 건강이 암암리에 쉽게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성인 남성 중 과반 이상이 크고 작은 전립선 건강 문제 때문에 비뇨의학과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기 쉬운 전립선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병할 수 있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등이 대표적이다.

더욱 큰 문제는 전립선 건강관리에 소홀하여 질병 발생 가능성을 키우는 안타까운 사례가 더러 존재한다는 것이다. 만약 배뇨장애, 통증과 같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 조기 검진을 통해 질환 유무를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만성화를 막을 수 있다.

만성 전립선염은 50세 이하 남성에게 발병 가능성이 높은 가장 흔한 비뇨기 질환 중 하나로 꼽힌다. 20대에서 50대까지 환자 연령 대가 고르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 연령, 임상 증상, 발생기간 등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 만성 전립선염은 전립선액, 전립선 마사지 후 소변검사, 정액검사를 통해 세균성, 비세균성으로 재차 구분한다.

전립선염 대부분은 만성 비세균성으로 진단되는데 발병 원인이 정확하지 않은 것이 핵심이다. 이렇듯 원인 규명이 어려워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질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확하고 체계적인 전립선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중년의 남성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또 다른 전립선 질환으로 전립선비대증이 있는데 전립선을 구성하는 세포의 대사 밸런스가 무너져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전립선 조직 세포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비대해지면 요도를 압박해 배뇨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빈뇨, 절박뇨와 더불어 소변을 본 후 불쾌감을 느끼는 잔뇨감, 소변이 끊어지는 단절뇨, 소변을 참기 어려운 절박뇨, 소변이 마려워 잠에서 깨는 야간뇨 등이 대표적이다.

전립선비대증과 증상이 유사한 전립선암은 노화, 남성호르몬 분비 변화, 가족력, 비만, 식습관 등으로 인해 악성 종양이 나타나 발생하는 질환이다. 병기에 따라 임상 단계를 구분하는데 1~2기의 경우 암세포가 전립선 내에 국한된 상태로 볼 수 있다. 3기는 암이 전립선을 벗어나 본격적으로 전이가 시작되는 단계다. 4기는 전이 상태로 주변 장기 또는 림프절, 뼈 등으로 암이 퍼진 경우다.

전립선암은 다른 암 대비 증식 속도가 느린 편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배뇨장애 증상 및 전이에 따른 증상이 생기기 시작한다. 전립선암이 더 악화되면 소변이 요로나 방광으로 나가지 못해 신장에 고이는 수신증, 신부전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뼈로 전이되어 통증이 발생하거나 척추로 전이돼 요통, 좌골신경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전립선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 검사 주요 항목으로 요속 및 잔뇨량 검사, 전립선 초음파 검사, 전립선 특이항원 검사(PSA) 등을 꼽을 수 있다.

먼저 전립선 관련 다양한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전립선 증상 점수표를 작성한다. 이후 요속 검사를 통해 배뇨 기능을 면밀히 살피는 과정이 이뤄진다. 또 전립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전립선의 크기나 모양은 물론 기타 질환의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전립선 특이항원(PSA)의 측정은 전립선 질환을 진단할 때 중요하게 활용되는 검사 항목 중의 하나다. 전립선 특이항원의 이상 소견은 전립선암이나 전립선비대증과 같은 전립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골드만비뇨기과 인천점 이창기 원장은 "성인 남성이면 누구나 전립선 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모든 연령 대의 남성이 전립선 검진 대상자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성기나 고환이나 골반 부위에 묵직한 통증이 있는 경우, 소변을 볼 때 불편함을 수시로 느끼는 경우, 소변이나 정액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경우라면 지체하지 말고 빠르게 전립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